“당신은 강한 남자” 중국 SNS에 퍼진 ‘러시아 용병 모집’ 광고

젤렌스키 ‘중국인 155명 참전’…러시아·중국 “아니다”
광고 “러시아군 입대시 월 350만원”, “남자가 돼라”

22222222
지난 9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중국인 남성이 우크라이나 당국에 심문을 받으면서 가족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연합뉴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군을 도와 참전한 중국인을 생포했다고 밝혀 파장이 일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가 중국인에게 용병 입대를 권유하는 광고가 중국 소셜미디어에 퍼지고 있다.

 

중국인 155명이 러시아군에 가담했다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주장과 부합하는 정황이지만 러시아와 중국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중국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모병 광고는 러시아군에 입대하면 6만 위안(약 1천200만원)부터 20만 위안(약 3천900만원)에 이르는 계약금을 주고, 1만8천 위안(약 350만원) 안팎의 월급을 지급한다고 안내한다.

 

중국 소셜미디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모병 광고들은 이러한 금전적 혜택을 강조하면서 호전성을 자극하는 내용이 담겼다.

 

다양한 플랫폼에서 수십만회 조회된 다른 광고에는 한 남성이 경비요원, 헬스 트레이너, 택시 기사 등의 직업을 벗어나 군복을 입는 모습이 표현됐다.

 

러시아어와 중국어 자막으로 “지금의 일이 당신이 원했던 길이냐. 힘을 보여주고 싶은가. 당신은 강한 남자다. 남자가 돼라”고 독려한다.

 

또 다른 광고에는 이미 용병으로 채용됐다고 주장하는 남성이 어떻게 모병에 응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내용이 담겼다.

 

팔로우 30만명이 넘는 러시아 인플루언서가 중국어로 급여·주거·의료·보육 혜택 등을 설명하는 영상도 있다.

 

이 인플루언서는 “최고의 장비를 받고 경험 많은 조교로부터 훈련받을 수 있다”며 “60세 미만이면 누구나 자발적으로 입대할 수 있다”고 전한다.

 

가디언은 이런 영상들에 대해 ‘어떻게 입대할 수 있는지’, ‘러시아어를 못하는 것이 장벽이 되지 않는지’ 등을 묻는 반응부터 ‘총알받이가 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반응까지 다양한 누리꾼의 댓글이 달렸다고 보도했다. 급여 수준에 대해서는 중국군보다 낫다는 반응이 많다고 전했다.

 

가디언은 “중국의 소셜 미디어가 엄격하게 감시·통제받는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런 광고가 수 개월간 그대로 남아있었다는 것은 적어도 당국이 이 문제에 신경 쓰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앞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현재 러시아군의 일원으로 전투 중인 중국인 규모가 최소 150명이 넘는다고 주장했다.

 

중국 당국은 전날 자국민들에게 어떤 형태로든 무력 충돌에 휘말리지 않도록 요구해왔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주장을 전한 보도 등을 겨냥해 무책임한 발언을 하지 않기를 권고한다고 밝혔다. 러시아 역시 “사실이 아니다”라며 일축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