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내주 미국 재무장관 만나 통상현안 논의

금융·외환과 함께 통상 이슈도 다룰 전망
'비관세 장벽' 해결 문제 집중 설명할 듯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연합뉴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연합뉴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다음주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을 만날 예정이다.

 

기획재정부는 16일 "미국 재무부는 다음주 최상목 부총리의 G20 회의 방미기간 중 베센트 재무장관과 통상현안 관련 회의를 할 것을 제안해왔다"고 밝혔다.

 

한미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기본적으로 금융·외환 관련 사안이 논의되는 편이지만, 최근 양국간 현안으로 부상한 통상 이슈도 함께 다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이르면 다음주 워싱턴DC를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미국 고위 당국자들과 만나 미국의 대한국 관세 조정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이 참석하는 회의에서는 미국이 지정한 한국, 일본, 영국, 호주, 인도 5개 우방국과 무역 합의를 우선 도출한다는 목표하에 논의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에 따라 무역 문제에 대한 한미 간 접촉이 본격적인 협상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우리 정부는 미국에 무역 균형 추구와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 등을 담은 '패키지' 제안을 준비 중이다. 국가 맞춤형 상호관세와 자동차·철강·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 부담 최소화를 끌어내겠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로드맵은 가스, 원유, 농산물, 무기 등의 수입 확대와 주요 기존 수출 제품인 자동차, 반도체 등의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수출 대체를 통한 양대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는 내용이다. 이 방법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 재임기에 가시적 무역수지 개선 효과가 예상된다는 내용도 함께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 명분으로 삼는 비관세 장벽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도 집중적으로 설명할 계획이다.

 

정부는 미국 재무부 측의 요청을 받은 뒤 참석자와 일정을 조율 중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통화 후 "대미 무역 흑자, 관세, 조선, 미국산 LNG 대량 구매, 알래스카 가스관 합작 사업, 한국에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적 보호 비용 지급을 논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