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수험생 이례적 증가"… 상위권 이과 집중에 부담감

수학 '미적분·기하' 선택 줄고 '확률과 통계' 선택 늘어

image
경기일보DB

 

한동안 주춤했던 문과 수험생이 올해 이례적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최근 의대쏠림이 심화되며 상위권 수험생이 이과로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부담을 느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일 종로학원이 지난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응시생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과 학생들이 주로 응시하는 수학영역 '미적분·기하' 선택 비율이 작년 46.1%에서 40.5%로 5.6%포인트 감소했다.

 

반대로 문과 학생들이 주로 보는 '확률과 통계' 선택률은 53.9%에서 59.5%로 5.6%포인트 상승했다.

 

3월 교육청 학력고사 기준 미적·기하 응시율이 전년도보다 떨어진 것은 통합수능이 도입된 2022학년도 이후 처음이다.

 

국어영역에선 이과 학생이 주로 선택하는 '언어와 매체' 응시율이 작년 37.4%에서 33.8%로 3.6%포인트 떨어졌다.

 

탐구에선 사회탐구 응시율이 64.6%로 2022학년도 통합수능이 도입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탐 응시 비율이 늘어난 것은 "문과 학생이 증가한 것과 함께 이과 학생이 사탐 과목을 응시하는 이른바 '사탐런' 현상도 크게 늘었기 때문"이라고 종로학원은 분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수학·국어 선택과목 응시율로 봤을 때 이례적으로 이과 학생이 줄고 문과 학생이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며 "서울권 소재 대학 합격선도 이과가 문과보다 높아 부담을 느낀 이과 중위권·중하위권 학생들이 문과로 전향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