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승 김문수 시험대 올라... 보수 결집했지만, 외연은 뚫릴까 [6·3 대선]

중도 확장·당내 봉합은 여전히 숙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수락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지난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수락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가 선출되면서 '탄핵의 강을 건너야 한다'는 보수 재편론이 다시 도마에 올랐다.

 

김 후보는 5월 3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최종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당원 투표에서 61.25%(한동훈 38.75%),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서 51.81%(한동훈 48.19%)를 얻어 두 부문 모두에서 한동훈 후보를 따돌렸다. 특히 당원 투표에서는 22.5%포인트라는 큰 격차로 한 후보를 압도했다.

 

이번 국민의힘 경선은 단순한 인물 대결이 아닌 노선 싸움이라는 평가가 잇따랐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치르는 대선이라는 정치적 맥락 속에서 탄핵을 둘러싼 '노선 충돌'이 당 전체를 흔들었기 때문이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국가적 재앙’이라 규정하며 강경한 반탄핵 노선을 걸었고, 결국 당심은 그 선택에 힘을 실었다.

 

반면, 한 후보는 “불법 계엄은 막아야 했다”는 현실적 입장을 강조했지만, 보수 강성 지지층의 마음을 되돌리기엔 역부족이었다는 평가다. 경선에서 탄핵 찬성 여부가 이른바 보수 ‘정통성’의 시험대로 작용하면서, 한 후보 노선이 당심 핵심 지지층을 설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한 후보는 경선 내내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사안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번 결과를 두고 “국민의힘은 여전히 탄핵의 강을 건너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친한계(친한동훈) 한 인사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친박대 비박 갈등으로 통합이냐, 응징이냐로 이어졌던 보수 상흔이 이번 탄핵 정국에서도 반복되는 거 아닌지 우려된다"며 "하루 빨리 탄핵의 강을 건너 벗어 버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주당 한민수 대변인은 "내란에 반대했던 한 후보를 탈락시킴으로써 국민의힘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서 절대 벗어날 수 없는 내란 정당임을 보여줬다"고 비판했다.

 

보수진영 내부에서도 김문수 대선 후보 체제의 국민의힘이 본선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지를 두고 의견이 엇갈린다. 탄핵 프레임을 고수한 채 ‘진영의 응징’으로만 승부를 걸 경우, 중도층과 무당층의 이탈을 부를 수 있다는 우려인 것이다.

 

반면, 일부 강경 보수 진영에서는 "탄핵의 강을 끝내 건너지 않겠다는 결연함이 오히려 보수층을 결집시키는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김 후보는 '당심의 선택'이라는 강력한 지지 기반을 안고 대선 본선으로 향하게 됐다. 넘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이재무 단국대 행정학고 겸임교수는 "경선 과정에서 극명하게 갈라진 당내 균열을 어떻게 봉합할 것인가. 한동훈을 지지했던 중도·청년층, 윤 대통령을 비판적으로 바라본 온건 보수층을 끌어안는 ‘외연 확장’이 최대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