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한 스토리텔링, 날카로운 분석으로 긴급하면서도 통찰력 있는 보도” “허공을 가르는 총알까지 포착”
미국 최고 권위의 언론 보도상인 퓰리처상 선정위원회(선정위)가 지난해 7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피격 사건을 속보로 보도한 워싱턴포스트(WP) 취재팀과 뉴욕타임스(NYT) 더그 밀스 기자를 올해 수상자로 선정했다.
선정위는 5일(현지시간) 제109회 퓰리처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먼저 언론 속보기사 부문 수상자로 지난해 7월13일 트럼프 대통령이 피격 당했을 때 이를 속보로 보도한 워싱턴포스트(WP) 취재팀이 선정됐다. 선정위는 “전통적인 경찰 기사와 시청각 기법을 활용, 상세한 스토리텔링과 날카로운 분석을 통해 긴급하면서도 통찰력 있는 보도를 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선정위는 언론 속보 사진 부문 수상자로 같은 사건을 취재한 뉴욕타임스(NYT) 더그 밀스 기자를 선택하며 “트럼프 당시 후보가 연설하는 동안 허공을 가르는 총알까지 포착해냈다”고 치하했다.
트럼프 대통령 피격 사건을 다룬 콘텐츠가 양대 속보 부문을 모두 석권한 셈이다.
언론 부문의 총 15개 상 가운데 만화·삽화 부문도 트럼프 대통령과 연관된 인물이 수상자가 됐다. 그중 하나는 워싱턴포스트 사주인 제프 베이조스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돈다발을 바치는 장면을 풍자하는 만화를 그렸다가 게제를 거부 당하자 지난 1월 사직한 앤 텔내스다. 선정위는 텔내스를 향해 "능숙하고 창의적으로 힘 있는 인물과 기관을 비판했고, 17년간 재직한 조직을 떠날 정도의 용기를 갖췄다"고 언급했다.
이외에도 뉴욕타임스는 미국 사회 내 펜타닐 위기, 군 문제 등에 대한 보도로 3개의 퓰리처상을 더 수상했다.
한편 퓰리처상 가운데 가장 권위있다고 평가받는 '공공서비스 부문'에서는 엄격한 낙태법이 적용되는 주들에게 의사들의 늑장 대처로 사망한 산모들의 사례를 보도한 탐사보도 전문매체 프로퍼블리카가 수상했다.
퓰리처상은 매년 미국의 신문 언론, 문학 예술 분야에서 높은 기여를 한 언론인과 예술인에게 주는 상으로 1917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올해 퓰리처상은 지난해 언론에서 활약한 이들을 15개 카테고리로 나눠 시상했으며, 도서·음악·영화까지 합쳐 8개의 카테고리도 추가로 시상했다.
공공서비스 부문 수상자에게는 금메달이 수여되고, 나머지 수상자들은 1만5천달러를 상금으로 수령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