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짐펜트라 임상 3상 사후분석서 유효성 데이터 확보

셀트리온 로고.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 로고.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은 지난 3~6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2025 미국소화기학회’에서 짐펜트라 글로벌 3상 사후분석 결과를 공개했다고 7일 밝혔다.

 

짐펜트라는 종전 셀트리온의 정맥주사 형태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를 집에서 혼자 투여할 수 있는 피하주사 형태로 만든 제품이다.

 

미국소화기학회는 소화기학 관련 최신 연구와 임상 정보, 치료제 개발 동향 등을 공유하는 세계 최대 규모 학술대회다. 해마다 각국의 소화기 질환 의료 전문가 1만여명 이상이 참석하고 약 4천개 이상의 초록 및 포스터를 발표하는 등 염증성 장질환 분야 관련 최신 의료 트렌드를 공유하는 학술의 장을 이어가고 있다.

 

셀트리온은 이번 학회에서 크론병·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짐펜트라 글로벌 임상 3상 1~2년간 장기 추적연구의 사후 분석 결과에 대한 내용으로 5건의 포스터를 공개했다.

 

셀트리온은 중등도 및 중증 크론병(CD), 궤양성 대장염(UC) 환자들을 대상으로 짐펜트라 유지 치료 중 환자 약물 반응 ‘예측 인자’ 확인에 대한 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연구 결과 짐펜트라 유지 요법을 받는 동안 약물 반응 소실을 보인 환자는 2년까지 반응을 유지하는 환자와 달리 치료 초반부터 기저 특성 및 임상적 반응 양상에서 특이 지표를 보였다. 이는 치료 초기에 미리 양을 늘려 투여를 하는 것이 치료 조절 및 약물 유지 등에서 효율적인 치료 요법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셀트리온은 앞서 ‘유럽 크론병 및 대장염 학회’에서 공개한 짐펜트라 임상 3상 결과에 대한 사후 분석으로 관련 포스터 4건도 함께 공개했다. 이를 통해 짐펜트라의 다양한 유효성 데이터를 추가로 확인하는 만큼 의료진의 제품 신뢰도 및 처방 선호도도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셀트리온은 학술 대회 기간 동안 단독 부스를 마련하고 염증성 장질환 의료진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열어 짐펜트라 치료 효능과 제품 경쟁력을 조명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글로벌 소화기 학술 대회를 통해 공개한 짐펜트라의 다양한 유효성 연구 데이터에 대해 글로벌 석학들의 호평과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학회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 역시 미국 시장에서 짐펜트라 처방 증가와 시장점유율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