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선관위원장에 이양수...당헌상 대선후보 선출 특례 적용 당원투표 50%·일반 여론조사 50%...11일 '후보 지명' 전국위 개최 "단일화 강제, 법적 공방 우려" 제기도...한덕수 측 "로드맵 참여"
국민의힘 김문수 대통령 선거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예비후보 간의 단일화 담판이 결렬되자 당 지도부가 후보 간 토론과 여론조사를 진행하는 '단일화 로드맵'을 강행하기로 했다.
당 지도부는 7일 밤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의원들에게 설명한 후,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회와 비상대책위원회를 거쳐 의결했다.
전격적으로 사퇴 의사를 밝힌 황우여 전 경선 선관위원장의 후임은 이양수 사무총장이 맡기로 했다.
단일화 로드맵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8일 오후 6시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두 후보의 일대일 토론회를 열고 같은 날 오후 7시부터 9일 오후 4시까지 ‘후보 선호도’ 여론조사를 진행한다. 여론조사 방식은 당내 경선 때와 같은 ‘당원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다. 국민의힘은 토론회가 무산되더라도 여론조사는 진행하기로 했다.
국민의힘은 또 단일화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11일 오전 비대면 회의(당 유튜브 중계) 및 ARS 투표 방식의 제15차 전국위원회 소집 공고를 냈다. 안건은 단일화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통령선거 최종 후보자 지명의 건이다.
당 지도부는 조속한 단일화를 원하는 당원들의 여론이 대선 후보 선출과 관련한 당헌 특례 상의 '상당한 사유'를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당헌 제74조의2 특례는 ‘대통령 후보자의 선출 규정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사유’가 있으면, 대통령 후보자선거관리위원회 심의와 최고위(비상대책위원회) 의결을 거쳐 대통령 후보자 선출에 관한 사항을 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조항을 적용하면 새로운 선출 방식을 적용, 김 후보와 한 후보 간 단일화를 통해 ‘후보 교체’까지 가능한 셈이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이 책임당원을 상대한 한 자동응답전화(ARS)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두 후보 간 단일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82.82%였다. ‘후보 단일화 시기’는 ‘후보 등록(11일) 전에 해야 한다’가 86.7%로 나타났다.
신 수석대변인은 의원총회가 끝난 뒤 "두 후보 간 단일화 협상이 진전이 안 돼 마련한 강력한 '플랜B'"라며 “단일화를 하면 좋겠다고 촉구하는 성격이지, 후보 사이 단일화가 되면 이건(로드맵) 필요 없다"고 밝혔다.
또 “로드맵은 결코 인위적으로 후보를 바꾸겠다는 게 아니다”라며 “단일화 시너지를 통해 대선을 치러서 승리해야 한다는 당원들의 열망이 크다는 걸 확인했고 두 후보도 인지하셨을 걸로 믿는다”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 "토론회는 후보 한 분이라도 (참여를) 안 하면 성사되지 않지만, 그다음 스텝으로 간다"면서도 "우리가 준비한 사항을 (후보들에게) 차례로 말씀드리는 것이지, 강요하거나 결론을 미리 내려놓고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날 의총에선 주호영·김기현·나경원 등 중진 의원들을 중심으로 지도부의 로드맵 추진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윤상현 의원도 의총 도중에 나와 "절차적 정당성, 민주주의에 위배된다고 판단한다"며 "만약 이런 식으로 (후보들에게 단일화를) 강제하게 되면 이 당은 더욱더 법적 공방으로, 더욱더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 후보 측은 입장문을 통해 "6시 국민의힘 토론회에 참여한 뒤 김 후보자를 만나 뵙겠다"고 당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밝혔다. 또 김 후보의 4시 회동 제안도 토론회가 이뤄질 경우, 수용하겠다고 했다.
앞서 김·한 후보는 8일 오후 4시 만나 단일화를 위한 추가 논의를 갖기로 했었다.
한 후보와 달리 김 후보는 토론회 참석 여부 등 지도부의 '단일화 로드맵'에 대한 별도의 입장을 내지 않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