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임업후계자협회, 대선 후보들에 '임업 공약' 제안

"숲을 살리려면 임업인을 살려야" 주장

한국임업후계자협회 최상태 중앙회장과 임원들이 최근 정부대전청사에서 국가재난으로 인한 임업인들의 피해를 보상하라고 외치고 있다. 한국임업후계자협회 제공
한국임업후계자협회 최상태 중앙회장과 임원들이 최근 정부대전청사에서 국가재난으로 인한 임업인들의 피해를 보상하라고 외치고 있다. 한국임업후계자협회 제공

 

(사)한국임업후계자협회는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임업의 공익성과 미래 전략 가치를 강조하며 대선 후보들에게 19개 항의 임업정책 공약을 제안했다.

 

전국 21만 임업인과 220만 산주를 대표하는 한국임업후계자협회는 “숲을 지키는 사람을 지켜야 숲이 살아나고, 이는 곧 대한민국을 지키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우리 국토의 63%를 차지하는 숲은 탄소흡수, 수자원 저장, 생물다양성 보전 등 국민 전체의 자산이지만, 전체 산림의 67%를 차지하는 사유림을 가꾸는 산주·임업인은 과도한 규제와 낮은 제도적 보호 속에 외면받아 왔다. 이에 협회는 임업인을 보호·육성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정책 비전을 제시하며 5대 전략 목표를 내세웠다.

 

주요 제안에는 임업직불금 확대, 상수원보호구역 내 손실 보상, 세제 혜택 강화 등 임업인 복지 강화 방안과 지역특화 임산물 육성, 국산 목재산업 고도화, 산림복지 산업화 등 산업 경쟁력 강화가 포함됐다. 또한 귀산촌 정착 지원, 산지은행 제도화, 산촌특별회계 신설 등을 통한 지역순환경제 구축도 제안됐다.

 

아울러 산림청의 ‘산림임업부’ 격상과 산림행정 일원화, AI 기반 산불·병해충 예보 시스템 구축 등 과학 기반 재난 대응체계 강화도 요구했다.

 

최상태 한국임업후계자협회 중앙회장은 “임업은 탄소중립, 기후위기 대응, 식량·물 안보, 지역균형발전과 연결된 미래 전략 산업”이라며 “임업인을 위한 공약은 국민 모두의 삶을 지키는 길”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