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후보 교체, 국민의힘 혼돈의 24시간…무슨 일 있었나? [6·3 대선]

후보 자격 박탈과 기습 입당, 긴급 당원투표, 비대위 사퇴까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대선후보 사무실에서 회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대선후보 사무실에서 회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김문수 대선 후보를 전격 교체하려다 하루 만에 다시 복귀시키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단 24시간 사이에 후보 자격 박탈과 기습 입당, 긴급 당원투표, 비대위 사퇴까지 극심한 혼란에 빠진 것이다.

 

11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사건의 발단은 지난 10일 0시45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긴급 회의를 열어 김 후보의 자격을 박탈하면서 시작됐다. 지도부는 당헌 제74조의2와 대통령후보자선출규정 제29조를 근거로 들며 김 후보가 단일화에 미온적이라는 이유로 교체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같은 날 새벽 2시께 국민의힘 홈페이지에 대통령 후보자 등록 공고가 올라왔고, 불과 한 시간 뒤인 3시20분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입당과 동시에 후보 등록을 완료했다. 한 전 총리는 32종의 관련 서류를 미리 준비한 듯 신속하게 제출해 등록을 마쳤고 오전 4시40분 기준으로 확인된 후보 등록자는 한덕수뿐이었다.

 

이에 김 후보는 오전 9시께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어젯밤 우리당의 민주주의는 죽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야밤에 정치 쿠데타가 벌어졌다. 대한민국 헌정사상 처음이자 불법적인 후보 교체”라고 비판하며 즉각 법적·정치적 대응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image
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같은 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국민의힘은 ‘후보 변경안’에 대한 긴급 당원투표를 실시했다. 하지만 당심은 예상과 달랐다. 당 지도부는 한덕수를 추대하려 했지만 다수 당원들은 기습적 후보 교체 절차에 반감을 드러냈고 투표 결과 김 후보가 다시 자격을 회복했다. 혼란이 시작된 지 24시간이 채 되지 않은 11일 밤 11시30분 상황은 원점으로 되돌아갔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당원의 뜻을 얻지 못했다”며 사퇴를 선언했다. 권성동 원내대표 등 지도부에 대한 책임론도 커졌지만 김문수 후보는 “더 이상 책임을 묻지 않겠다”며 사태를 일단락지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