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자 구도를 형성 중인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들이 모두 경기도에 정치적 기반을 두고 있음에도 경기북부권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공약 속에 경기 북부 관련 공약들이 좀처럼 보이지 않아서인데, 곧 발표하는 구체적 지역 공약에는 경기 북부를 위한 공약을 담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5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3명의 대선 주자가 발표한 10대 공약 가운데 경기도와 연관성을 가진 공약은 이재명 후보의 ‘AI 산업 육성’, 김문수 후보의 ‘GTX 전국 확장’, 이준석 후보의 ‘수도권 리쇼어링 촉진’이다.
하지만 이들 모두 경기북부와는 무관하다. ‘AI 산업 육성’은 화성·용인·평택 등 남부권 반도체 산업지대와 밀접하게 연결된다. 김 후보의 ‘GTX 전국 확장’ 공약도 주요 노선(A·B·C)은 대부분 수도권 남부를 중심으로 설계돼 있다. 이 후보의 ‘수도권 리쇼어링 촉진’ 공약 역시 남부 지역의 기존 산업단지와 연계된 방향성이 강하다.
의정부·연천·동두천·포천 등 경기 북부는 군사 규제, 교통 인프라 및 산업 기반 부족 등 고질적인 문제를 품고 있는 지역으로,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각종 규제를 받아 역차별이란 목소리까지 나오는 곳이다.
그럼에도 경기도지사 출신은 물론 현역 경기도 지역구 국회의원의 공약 속에는 경기북부 관련 대응책을 찾아볼 수 없다. 지난 1일 이재명 후보가 ‘경청투어’의 일환으로 포천과 연천 등 경기 북부권을 방문해 접경지역의 군사 긴장 완화 구상을 밝힌 것이 유일할 정도다.
이재명 후보는 도지사 시절 ‘평화경제특구 조성’과 ‘미군 반환 공여지 국가개발’ 등을 제시했고, 김문수 후보는 도지사 당시 수도권 규제 완화를 통한 북부지역 개발 필요성을 강조했었다. 하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이 같은 정책 기조의 연속성이나 구체화된 로드맵이 나오지 않고 있다.
대선 등 선거 때마다 ‘지역감정 자극 우려’를 이유로 핵심 의제에서 빠져온 ‘경기북도’ 신설 요구도 이번 대선에서 여전히 현안으로 분출되지 않고 있다.
김종욱 정치평론가는 “표의 크기와 동원력이 제한된 경기북부는 전략상 후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다”면서 “표는 경기도에서 얻고, 정책은 서울에서 짜는 대선 구조가 반복되고 있다는 인식이 경기북부 유권자에게 누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