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2050년까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공급망 구축”…73조원 필요

2038년까지 73조 투자 전망... 일각선 ‘재원조달 우려’ 지적
“특별법 통해 추진 동력 확대”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부지. 경기일보DB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부지. 경기일보DB

 

한국전력이 오는 2050년까지 10GW 규모의 전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공급 설비 계획을 수립했다.

 

한전은 이 계획을 위해 2038년까지 72조8천억원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전망했지만 현재 총부채 200조원을 초과한 한전 재정 여건상 재원 조달이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전은 27일 전기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11차 장기 송·변전 설비 계획’을 확정했다.

 

계획은 반도체 등 국가 첨단 전략 산업의 전력 수요를 반영한 전력 공급 인프라 확충, 호남~수도권 초고압 직류 송전(HVDC)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계통 재구성을 주축으로 한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는 현재 수도권 전력 수요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10GW 이상의 전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 이를 적기에 공급하기 위해 산단 내 변전소 신설, 기존 전력망과의 연계 등 설비 계획을 세웠다.

 

또 호남∼수도권 HVDC의 경우 2036년 4GW급 2개 루트를 준공한다는 기존 계획을 2GW급 4개 루트로 변경, 2031년과 2036년, 2038년 단계별로 준공하기로 변경했다. 현재 HVDC 기술 수준과 변환소 부지 확보, 배후 계통 보강 여건 등을 고려한 데 따른 것이다.

 

한전은 이 같은 설비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2038년까지 72조8천억원의 재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하지만 한전이 현재 재정 여건 속에서 수십조원의 비용을 충당할 수 있을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지난 1분기 기준 한전의 총부채는 200조원대로 연간 이자 부담만 4조원 안팎인 데다 2021년 이후 누적 영업적자도 30조9천억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한전은 이번 계획에서 현재 추진 중인 하남, 충남 당진의 전력망 구축 사업 준공 시기도 연기했다. 지역주민 반발로 인허가가 완료되지 않는 등 건설 지연, 계통 여건 변경 문제가 일자 사업 시기를 조정한 것이다.

 

한전은 “지난 2월 제정된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통해 건설 사업 추진 동력을 높이겠다”며 “주민 친화형 변전소를 확대, 주민 수용성을 높여 전력망을 적기에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