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해 500여개의 온·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등을 중점 운영한다.
28일 경기도교육청 등은 고교학점제에 따라 필요한 교육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학생들의 성장을 돕는 학교, 학교밖 공동교육과정과 관련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고교학점제는 2022개정 교육과정 도입에 따라 올해 신입생부터 고등학교에 전면시행으로 학생들이 각자의 진로와 학업 설계에 따라 과목을 선택해서 교실을 이동해 학점을 이수하고 있는 제도다.
이에따라 도교육청은 2025년 상반기에 ▲520여개의 온·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13개 경기공유학교 학점인정형 프로그램 운영 ▲경기이음온학교 강좌 개설 등 학교의 경계와 시공간을 넘어 공교육 확장과 학생의 성장을 지원할 방침이다.
여기에 지역의 교육자원을 활용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광명교육지원청은 고교 학점제 운영 활성화를 위해 고교 교육과학부장을 중심으로 광명 T·O·P 고교학점제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광명교육지원청은 학생 수요가 있으나 소인수 선택으로 단위학교에서 개설이 어려운 과목에 대해 ▲일과 내에 진행하는 온마을캠퍼스 및 온라인캠퍼스 ▲방과 후에 진행하는 온라인 클러스터 및 오프라인 클러스터 등 4가지 유형으로 공동교육과정을 운영중이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지역사회와 협력한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으로 학생 스스로 자신의 미래를 만들어 갈 수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학교 경계를 넘나드는 학생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지역사회와 협력 체계 구축을 적극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