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급증하는 ‘침습성 A군 연쇄상구균’ 감염이 국내에서도 확인되면서 방역 당국이 감시 체계 구축에 나선다. 치사율이 무려 14% 이상에 달하는 만큼, 당국은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3일 분당서울대병원 이현주 교수 연구팀이 질병관리청 의뢰로 진행한 ‘국내 침습성 A군 연쇄상구균 감시체계 구축’ 연구 용역에 따르면 2015~2024년 국내 침습성 A군 연쇄상구균 감염 사례는 총 383건에 달했다.
이 중 41.5%(159건)는 감염으로 인해 수술이나 피부 절개술을 받아야 했고, 심지어 1.3%(5건)는 팔다리를 절단하는 비극을 겪었다. 또 환자 27.2%은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를 받아야 할 만큼 위중한 상태에 빠졌다.
특히 심각한 것은 높은 사망률과 후유 장애 발생률이다. 전체 환자 14.4%가 이 감염으로 인해 목숨을 잃었고, 11.7%는 심각한 후유 장애를 겪게 됐다.
반면 우리나라는 관련 감시체계가 전무한 실정이다. 국내 환자 발생 규모나 역학적 특성, 위험 요인 등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고 유행 발생 시 조기 인지 및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연구팀의 지적이다.
실제 연구팀이 감염병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5.4%가 A군 연쇄상구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성홍열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방역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부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응에 나섰다.
질병청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선진국에서 침습성 A군 연쇄상구균 감염증 발생이 증가하는 상황을 인지하고 국내 현황 파악과 함께 감시체계 구축 타당성 및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해 질병관리청에서 발주한 것"이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질환을 법정감염병에 반영하는 것에 대한 세부 사항을 검토,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