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 "신뢰 회복 위한 몸부림, 쇄신의 발걸음" 친윤 "현실적으로 불가능, 사리에도 안 맞아"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8일 당 개혁 및 전당대회 개최 구상을 발표한 후, 친한(친한동훈)계와 친윤(친윤석열)계가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친한계는 “응원한다”는 입장인 반면 친윤계는 “사리에 맞지 않다”며 선을 긋는 모습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차기 당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9월 초까지 준비해 열겠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와 대선 후보 교체 논란에 대한 진상 규명, 책임 묻기를 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친한계는 김 위원장의 계획을 지지한다는 입장이다.
박정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젊은 비대위원장의 고뇌를 응원한다”며 “당이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최소한의 몸부림이고 쇄신의 발걸음”이라고 했다.
김무성 상임고문도 김 위원장을 향해 “정당 민주주의 요체인 상향식 공천제도, 당권·대권 분리 등 누구도 바꿀 수 없는 당헌·당규 개혁을 완수한 뒤 전대를 개최하는 스케줄을 세워당을 재건해달라”고 요청했다.
반면 친한계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재원 전 김문수 대선후보 비서실장은 “비대위원들까지 사퇴 의사를 밝힌 마당에 현 비대위원장이 당 개혁이나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주도적 역할을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도 않고 사리에 맞지 않다”고 반발했다.
앞서 비대위원을 사퇴한 최형두 의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전당대회 일정, 전당대회 의제 모두 당원투표로 결정해야 한다”며 김 위원장 역할에 선을 그었다.
전당대회 개최 시기를 ‘9월 초’로 제시한 김 위원장의 결정에 대해서도 이견이 나온다.
친한계의 경우 이 구상을 지지한다는 입장이지만, 친윤계는 전대 시기를 더 늦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친윤계는 당장 전당대회를 개최하면 계파간 갈등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고, 이는 내년에 치를 지방선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당 분위기를 환기할 시간을 먼저 가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선거 전 김문수 대선 후보를 한덕수 전 국무총리로 바꾸려고 했던 사건과 관련해 진상을 규명하겠다는 김 위원장의 선언에 대해서도 친윤계는 반발하는 모양새다.
김 위원장의 이러한 결정이 당시 지도부였던 권영세 전 비대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등을 저격했다는 주장이다.
권 전 위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단일화 과정의 적법성은 법원도 분명하게 인정했다”고 자신의 입장이 정당했음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을 향해 “처음부터 ‘부당’ 단일화로 규정한 것은, 앞으로 있을 진상규명 절차의 중립성을 의심케 하는 매우 잘못된 표현”이라고 반감을 드러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