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최우선 과제 1순위는 '경제 위기 극복' 47% [한국리서치]

1위 경제위기 극복 47%, 2위 계엄 사태 진상 규명 및 처벌 16% 
지난 3년간 경제 상황 ‘나빠졌다’ 74%

image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이 새 정부에 바라는 1순위 과제는 경제 위기 극복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4~7일 만 18세 이상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웹 조사(응답률 40.2%)에 따르면 ‘새 정부가 집권 직후 추진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가’라는 설문에  경제 위기 극복(47%), 계엄 사태 진상 규명 및 처벌(16%), 국민통합(15%) 등으로 나타났다. 

 

경제 위기 극복을 바라는 여론이 차순위인 계엄 규명·처벌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특히, 경제 위기 극복에는 진보, 보수 모두 같은 마음이였다. 진보층의 (48%), 보수층의 (46%)가 최우선 과제로 경제 위기 극복을 택했다.

 

이처럼 경제가 새 정부 최우선 과제로 꼽힌 데는 지난 3년여간 경제가 나빠졌다는 인식이 작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 3년간 경제 상황에 대해 ‘나빠졌다’는 응답이 74%,  경제 상황이 ‘좋아졌다’는 응답은 9%에 그쳤다.

 

경제가 나빠졌다는 인식은 진보층(88%)과 중도층(73%)에서 높았고, 상대적으로 낮은 보수층(62%)에서도 과반이었다.

 

경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직결된 것으로 보인다. 윤 전 대통령의 국정 운영 점수는 2.6점(매우 잘못 0점, 매우 잘함 10점)이었다. 

 

이재명 정부의 향후 5년간 경제 전망과 관련해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44%),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은 (36%)였다. 

 

경제 위기 극복과 국민 통합 등의 과제를 이뤄내려면 이재명 대통령이 ‘정파를 가리지 않는 인재 등용과 국민 통합의 리더십’(35%),  국민 목소리 경청·공감(26%), 빠르고 과감한 추진력(16%), 야당 대표와 만남 등 정치를 복원하는 소통(10%) 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는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6월 4~7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웹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40.2%,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2.5%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