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교통망 논의 수개월째 제자리... 첨단기업 부지 미확보 등 리스크↑ 6곳 입주의향 밝혔지만 계약 불발... 市 “첨단산단 추가지정 등 최선을”
인천 ‘3기 신도시’ 계양테크노밸리(계양TV)를 자족형 첨단산업 중심지로 조성하기 위한 앵커시설 등의 투자유치 전략이 ‘빈 수레’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철도 교통망과 첨단산업단지 지정 등 핵심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입주 의사가 있는 대기업도 계약 등 적극적 움직임은 없기 때문이다. 지역 안팎에선 인천시가 과감한 인센티브 등을 담은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8일 시에 따르면 계양TV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전담 태스크포스(TF) 구성, 각종 세제 감면 확대, 기업 고충처리 센터 운영 등 ‘투자유치 3종 대책’을 마련했다. 투자 유치 전담 조직을 꾸리고, 각종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투자 유치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계양TV를 경기도 판교나 서울 마곡 등과 경쟁할 수 있는 첨단산업의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 대책에는 계양TV 성공의 핵심인 광역 교통망 확충과 첨단산단 지정 등의 현안은 빠져 있다.
계양TV의 광역 교통망은 지난 2023년부터 대장홍대선을 연장해 계양TV를 관통시킨 뒤, 공항철도 및 인천도시철도(지하철) 2호선 환승역인 계양역과 연결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왔다. 기업 유치 등을 위해선 이 같은 지하철 노선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계양구가 대장홍대선 노선을 틀어 박촌역으로 이어줄 것을 요구하면서 논의 자체가 수개월째 멈춰서 있다.
또 계양TV의 첨단산단 지정도 여전히 미완성이다. 현재 계양TV에 구상한 전체 75만7천457㎡(22만9천532평)의 첨단산단 중 현재 중앙 정부로부터 승인받은 면적은 34만7천㎡(46%)에 그친다. 첨단산단 지정은 기업의 합법적인 입주와 인센티브 등을 위한 필수적 전제 조건이지만, 아직 절반이 넘는 땅을 첨단산단으로 지정 받지 못한 셈이다.
기업들은 이 같은 철도 교통망과 첨단산단 지정 등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입주 리스크’가 크다고 분석하고 있다. 시가 이번에 마련한 세금 감면 등의 혜택보다는 핵심 인프라의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기업의 투자 결정을 끌어낼 수 있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케이티(KT), 씨제이㈜(CJ), ㈜엘지유플러스(LG U+) 등 6곳의 대기업은 계양TV 사업 초기 시에 입주의향서(LOI)를 냈지만, 수년이 지나도록 계약까지는 이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서울 마곡지구는 서울 인근 입지 뿐 아니라, 서울지하철 5·9호선 등 철도 교통망 확보와 일반산업단지 지정 등이 대규모 투자유치 등에 성공한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석정규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계양3)은 “기업은 단순히 땅이 싸다고 움직이지 않는다. 필수 조건인 지하철과 첨단산단 지정 등이 없는 유치 전략은 빈 수레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또 지금처럼 타 시도와 비슷한 수준의 세제 감면 혜택도 큰 효과가 없을 것”이라며 “과감한 인센티브 등을 토대로 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아직 투자유치가 미흡했던 것은 사실이다”며 “공개할 순 없지만 굵직한 기업과 입주 협의가 막바지에 있고, 이를 마중물로 다른 기업 유치도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도 앵커기업 등 투자유치에 총력을 쏟고있다”며 “계양TV 성공을 위한 대장홍대선 노선 확정과 첨단산단 추가 지정 등이 빨리 이뤄지도록 노력 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