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요롭고 사람이 찾아들던 인천 어촌, 이제는 아득한 옛 이야기다. 생선 굽는 냄새를 풍기던 선주 집은 성인 키만 한 풀들로 뒤덮였고, 강풍에 부서졌지만 고쳐 살 사람 하나 없다. 정부는 어촌 활성화를 위해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 도로를 깔고, 창고를 짓지만 운영하고 유지할 인력이 없다.
이 때문에 풍요가 넘치는 어촌을 만들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본보는 인천 어촌의 현실을 살펴보고, 어촌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찾아본다. 편집자주
“옛날엔 여기가 어민들로 북적이던 번화가였거든…. 지금은 다 떠나 버렸어.”
25일 오전 10시께 인천 옹진군 덕적도 북1리 마을에서 만난 강일규씨(77)는 좋았던 그 시절, 옛 마을을 회상한다. 북1리는 지난 1960년대 널찍한 선주 집에 선장과 선원들이 모여 살며 마을을 이룬 덕적도의 대표 어촌이었다. 하지만 1990년대부터 어민들이 하나둘 마을을 떠나기 시작했고, 지금 이곳엔 어민이 단 1명도 남지 않았다. 어촌이라는 말이 무색하다. 강씨는 “물고기가 잘 안 잡히고, 일도 힘들어 하나둘 떠나다 보니 이젠 마을에 물고기 잡는 사람은 아예 없다”며 “옛날엔 물고기 굽는 냄새가 온 마을에 가득했는데, 지금은 물고기 구경하기도 어렵다”고 속상해했다.
북1리는 어민들이 떠나면서 쇠락하기 시작했다. 마을 최고 부자였던 한 선주의 2층짜리 집은 무너져 내린 채 방치, 풀로 뒤덮였고 또다른 선주들이 살던 집들은 공터로 남았다. 선원들이 이용하던 마을 유일의 옷 가게와 여관은 모두 문을 닫았다.
어민들이 몸에 남은 소금기를 씻어내던 대중목욕탕도, 주민들 일터였던 바닷가 앞 어망 제조공장도 사라진 지 오래다. 주민들은 마을을 지탱하던 어촌 시스템이 제기능을 하지 못해 결국은 소멸하지 않을까 걱정이 크다. 이곳에서 70년을 산 강명심씨(84)는 “내가 죽는 것이 빠를지 어촌이 사라지는 것이 빠를지 모르겠다”며 “지금 이곳은 활기 없는 죽은 마을 같다”고 말했다. 이어 “남은 주민들이 요양병원에 가거나 죽으면 지금 섬은 쓸모를 다하고 소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천의 어업 가구(어가·漁家)가 10년 사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감소 추세면 앞으로 10년 사이에 인천지역 어가는 소멸 위기를 맞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24년 기준 인천지역 어가 인구는 2천943명이다. 이는 지난 2014년 어가 인구(6천138명)의 절반 수준에 그친다. 지난 10년간 해마다 300명 이상씩 줄어든 셈이다. 어가는 판매할 목적으로 1개월 이상 어선어업이나 맨손잡이 등 마을어업, 양식어업을 직접 경영한 가구 등을 말한다.
어업 종사자들은 높은 노동강도와 열악한 생활환경 등으로 어민은 떠나고 청년 등의 유입은 이뤄지지 않은 것을 어가 인구 감소의 원인으로 꼽는다. 더욱이 지금 어가를 지키는 사람 대다수가 고령이라 이들이 몸을 다쳐 병원에 입원하거나 모종의 사유로 어촌을 떠나면 어촌은 소멸할 수밖에 없다.
인천 강화도 한 어촌계장(69)은 “고된 바닷일을 견디거나 슈퍼 하나 없는 어촌생활을 버텨낼 청년들이 있을지 모르겠다”며 “가업을 물려주려는데 친아들도 싫다고 한다”고 했다. 이어 “우리 세대가 다 늙어 없어지면 인천 어촌은 소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상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어촌연구부장은 “어촌 소멸은 우리 식량 주권에도 영향을 준다”며 “어민이 사라지면 수산물을 수입하거나 비싼 가격에 소비해야 하는 등 시민들에게 직접 피해를 준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인천에선 어민들이 바다에 있는 것 만으로도 정찰, 경비 등의 역할을 해 안보 분야에서도 중요하다”며 “지역사회의 문제 인식과 해결책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