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장마철을 맞아 산사태 등 재해로부터 주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여름철에 들어서면서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등이 우려되는 가운데 광주시가 산사태 대피소 확보 등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대응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2일 시에 따르면 현재 지역 내 산사태 취약지역 373곳을 지정해 집중 관리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장마철에 예상되는 인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산사태 대피소 93곳을 확보해 상시 개방하기로 했다.
각 대피소는 긴급 상황 발생 시 주민들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위치 및 접근성 등을 고려해 지정됐다.
시는 기상특보나 산사태 예·경보, 대피명령 발령 시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하며 문자 수신 즉시 가까운 대피소로 대피할 것을 주민들에게 당부하기로 했다.
현장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시행하는 한편 예찰 활동 및 응급복구체계도 지속적으로 가동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마을 단위 ‘대피 조력자’ 역할을 수행하는 이·통장, 자율방재단, 의용소방대, 새마을지도자, 부녀회 등을 중심으로 주민 대상 산사태 대피교육과 모의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산사태 대응 홍보활동도 펼치기로 했다.
이번 활동도 마을 단위 ‘대피 조력자’ 역할을 수행하는 이·통장, 자율방재단, 의용소방대, 새마을지도자, 부녀회 등과 협업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산사태는 단시간 내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급박한 재난”이라며 “특히 산림 인접 지역 주민들은 사전 대피 훈련을 통해 대피소 위치를 숙지하고 위급 시 주저 없이 대피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