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흘만에 G7 정상회의 참석… 외교무대 데뷔 남북 확성기 중단하고 추경 ‘일사천리’ 처리 장관 90% 인선 완료… 실용주의 ‘가속페달’ 부동산 시장 대책 등 구조 개혁 과제 수두룩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한 달을 맞는다. 인수위도 없이 국정 공백과 외교 단절, 경제 위기라는 삼중 과제를 ‘속도전’으로 돌파하고 있다. 덕분에 외교 복원, 내각 인선, 민생 대책 추진 등을 통해 빠르게 국정 안정화를 이루고 있다는 평가다.
2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재명 정부의 ‘속도전’은 외교와 안보 분야에서 두드러졌다. 취임 열흘여 만에 G7 정상회의에 참석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회복됐음을 전 세계에 알리며 글로벌 외교 무대에 데뷔했고, 남북 간 확성기 방송 중단과 민간 교류 재개 움직임을 통해 남북 긴장 완화를 빠르게 이뤄냈다.
이재명 정부의 1기 내각 구성도 역대 정권과 비교해 신속성이 두드러졌다. 취임 한 달 만에 19개 부처 중 17개 장관 인선을 마쳐 90% 이상이 완료됐다. 대통령 당선일부터 2차 장관 인사 발표까지 걸린 기간은 윤석열 정부 34일, 문재인 정부 75일, 박근혜 정부 59일로, 이번 정부의 속도와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 등 ‘일만 잘하면 진영을 가리지 않고 쓴다’는 이 대통령의 ‘실용주의’ 파격 인선은 내각 구성 ‘속도전’의 가속 페달이 됐다.
민생 분야에서도 ‘속도전’은 분명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 첫 행정명령으로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지시했고, 이에 따라 민생회복지원금을 중심으로 한 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국회에 제출됐고 현재 심의가 진행 중이다.
이 대통령이 보여준 이 같은 ‘속도전’은 경기도지사 시절부터 이어진 ‘현장 중심의 신속 행정’과도 궤를 같이한다. 정책 연속성 측면에서도 분명한 정치적 메시지로 읽힌다.
전문가들은 검찰 개혁 등 속도만으로 풀 수 없는 산적한 난제들이 시험대에 올라 있는 만큼 취임 이후 첫 한 달이 ‘전력 질주’의 시간이었다면 이제는 ‘리스크’를 관리하며 내실을 기해야 한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국정 복원과 실행의 속도를 앞세운 이재명 정부는 출범 첫 달엔 비교적 안정적인 출발선을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속도 다음은 방향이다. 부동산 시장 대책, 대미 통상 협상 등 구조 개혁 과제는 이제부터가 본게임”이라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