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F1(포뮬러원) 그랑프리(GP) 대회 유치를 본격화하며 사업비의 30%를 국비로 확보하기 위해 중앙정부와의 협의에 나선다.
김영신 인천시 국제협력국장은 3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F1 유치 관련 ‘기본 구상 및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용역 결과를 토대로 문화체육관광부와 기획재정부 등에 국비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체 사업비의 최대 30% 수준까지 국가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는 지난달 독일의 서킷 전문 설계업체 틸케(Tilke)와 한국산업개발연구원(KID) 컨소시엄과 계약을 맺고 약 5~6개월간 기본 구상과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이번 용역은 대회 개최 후보지 선정부터 서킷 설계, 운영계획 등을 포함해 객관적인 사업비 산출과 추진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러나 현행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에는 F1 대회가 지원 대상에 속해 있지 않아 국비 확보를 위해서는 법령 개정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대해 김 국장은 “F1 대회는 월드컵, 올림픽 등과 달리 현재로서는 지원 근거가 없다”며 “용역 결과에 따라 지역 정치권과 협력해 법령 개정과 정부 설득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F1 대회는 전 세계 24개 도시에서 열리는데, 도시별로 서킷 설계 방식과 시설 배치가 달라 사업비 규모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에 따라 시는 용역 결과를 통해 보다 객관적인 사업비 산출과 운영 타당성을 확보한 뒤, 정부와 F1 본사 측과의 협의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시는 F1 유치 등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과 함께 상상플랫폼에서 철수한 LG헬로비전의 공간 재구성을 위해 인천관광공사와 협력해 새로운 프로그램을 추진할 방침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