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북한서 3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위, 등재 확정…코로나19 속 4년 만

PYH2025071308450000500
1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북한의 '금강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자 북한 대표단 관계자가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금강산이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이로써 북한은 '고구려 고분군'(2004년)과 '개성역사유적지구'(2013년)에 이어 유네스코 세계유산 총 3건을 보유하게 됐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1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47차 회의에서 북한 측이 신청한 금강산을 세계유산으로 확정했다.

 

정식 명칭은 '금강산'(Mt. Kumgang - Diamond Mountain from the Sea)이다.

 

금강산은 백두산과 함께 한반도를 대표하는 산으로 높이 1천638m의 비로봉을 중심으로 강원도 북부 회양군, 통천군, 고성군에 걸쳐 드넓은 면적의 명산이다. 외금강, 내금강, 해금강, 신금강 등으로 나뉘어 사시사철 풍경이 달라지는 산악미를 자랑하며 곳곳에 고찰과 암자, 석탑, 마애불 등이 조성돼 불교유산의 명소로서도 유명하다.

 

북한은 지난 2021년 금강산을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성격을 모두 지닌 복합유산을로 신청했다. 하지만 당시 코로나19 방역 때문에 평가 및 심사가 이뤄지지 못했고 4년 만인 올해 대상에 포함됐다.  

 

이로써 금강산은 북한의 3번째 세계유산으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현재 북한은3건의 세계유산과 더불어  인류무형문화유산 5건도 보유하고 있다. 인류무형문화유산은 아리랑(2014년), 김치담그기(2015년), 씨름(2018년/남북공동등재), 평양냉면(2022년), 조선 옷차림 풍습(2024년) 등이다.

 

앞서 전날 한국의 울산 반구천 암각화(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가 결정된데 이어 금강산도 등재에 성공하면서 올해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는 남북한 문화유산이 나란히 등재되는 결실을 거두게 됐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