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요즘 종편이나 신문에서 ‘팩트체크’란 말을 자주 볼 수 있다. 굳이 팩트체크란 말까지 써가면서 독자나 시청자들에게 호소하는 것은 한마디로 가짜뉴스 때문이다. 보수나 진보언론 모두 자기 진영에게 불리한 사안에 대해 팩트체크를 통해 열심히 강변한다.

현 정부는 그동안 미적지근하다가 얼마 전 이낙연 총리가 자신의 베트남 방문을 계기로 유튜브 등 온라인 가짜뉴스를 엄정처벌하라고 지시했다. 이후 박상기 법무장관은 “허위조작정보 배후의 숨은 유포자들까지 추적해 고소·고발 전이라도 수사에 적극 착수하라”고 검찰에 지시했다.

가짜뉴스를 처벌할 수 있는 법은 이미 충분히 있다. 정부에서 갑자기 호들갑을 부리는 이유는 문 대통령과 현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한 개인 유튜브나 보도가 호의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유심히 보면 가짜뉴스에 대한 팩트체크를 하는 곳은 대부분 친정부 언론들이다. 지금의 가짜뉴스는 과거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넓고 빠르다. 소셜네트워크로 거리와 시간의 장벽을 뛰어넘었기 때문이다.

‘진실이 신발을 신고 있는 동안 거짓은 지구 반 바퀴를 돈다’는 말처럼 가짜뉴스는 빠르기도 하지만 불신과 분열을 낳는 원흉이다.

알아서 상대방을 음해하고 헐뜯는 사람은 내 편이고, 나를 공격하는 사람은 불구대천 원수다. 이 때문에 자신의 정적을 용서하고 포용한 링컨이나 만델라가 존경받을 수밖에 없다.

지금 문 대통령도 인간이기에 하루가 멀다 하고 자신을 비난하는 야당과 보수언론, 반대자들이 미울 수밖에 없다.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열심히 하는데 섭섭하고 약 오를 수도 있다.

야당과 반대자들은 열심히 하는 것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고 그 방향이 다르다고 비난하는 것이다. 야당보고 바꾸라고 주문할게 아니라 그들의 주장을 귀담아야 하는데 지금 대통령은 야당은 없는 것처럼 행동한다.

이러한 상황을 역으로 활용하면 어떨까. 자신의 정책을 비난하는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토론도 하고 설득도 하고 할 수 있는 데까지 해 보면 국민도 좋아할 수밖에 없다.

여론을 만드는 것보다 상반된 의견을 평가하는 공론의 장이 있다면 굳이 팩트체크도 필요 없고 서로 죽자고 싸울 필요도 없다. 역대 대통령이 싫어했던 이 길을 간다면 문 대통령은 성공할 수 있다.

가짜뉴스가 창궐하는 이유는 대통령과 정권에 대한 불만도 있지만, 소통이 부족하고 반대파들을 포용하지 않는 데에서 기인하는 점이 훨씬 많다. 소득주도 성장에서 포용적 성장으로 간판을 바꾸었듯이 포용만이 가짜뉴스를 없애는 특효약이다.

가짜뉴스에 대한 과민반응보다는 불편한 진실을 포용하는 아량이 아쉽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