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남부권에서 공공의료기관 역할을 담당하는 인천적십자병원이 경영난을 이유로 응급실을 폐쇄하는 등 진료과목을 대폭 줄인 탓에 지역 공공의료가 크게 위축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인천 연수갑) 의원은 오는 3월4일 박경서 대한적십자사 회장을 만나 인천적십자병원의 진료과목 축소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박 의원에 따르면 연수구에 있는 인천적십자병원은 재정적자(2018년 11월 기준 누적 적자 261억원)를 이유로 응급실 운영을 중단하는 등 진료과목을 15개에서 6개로 줄였다.
이에 인천적십자병원은 대한적십자사가 운영하는 병원 6곳 중 통영적십자병원과 함께 가장 적은 과목을 진료하는 병원이 됐다. 지난 1985년 종합병원으로 승격한 뒤 33년 만에 일반병원으로 전환된 것이다.
특히 응급실을 폐쇄하면서 지역 응급환자들이 거리가 먼 다른 지역 종합병원으로 가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2017년 기준 연수구 응급환자 9천337명 중 1천7명이 인천적십자병원에서 응급치료를 받았는데 이제는 1천여명의 응급환자가 다른 병원에서 응급치료를 받아야 할 처지”라며 “서울·인천을 제외한 적십자병원이 모두 영남지역에서 운영되는 등 ‘지역 편중’ 논란이 일고 있음에도 인천적십자병원의 진료과목을 일방적으로 축소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인천적십자병원은 1956년에 설립돼 1985년 인천 최초로 종합병원으로 승격, 외국인·이주노동자·홀몸노인 등 소외계층(연간 15만여 명) 환자를 돌봤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재정적자를 이유로 진료과목을 줄이고 응급실 등을 폐쇄하면서 일반병원으로 전환됐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