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주민들이 동구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 백지화를 요구하는 단식농성이 10일째 이어지는 가운데, 동구 주민들의 4차 궐기대회가 지난달 30일 인천시청 미래광장에서 진행됐다. 이날 집회에는 인천 지역 야당 국회의원을 비롯한 정치권 인사들이 참여하면서 발전소 건립의 찬반논란이 정치권으로 확산하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대화와 타협으로 갈등을 없애야 할 정치인들이 나서서 오히려 갈등을 더 조장하면서 문제를 더 꼬이게 하고 있어 안타깝다.
동구 송림동에 들어설 예정이었던 인천 동구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사업은 지난 2017년 6월 인천시, 한국수력원자력, 두산, 인천종합에너지(주) 등과 구가 양해 각서를 체결하면서 추진되었다. 인천시가 애초 송도국제도시에 추진하던 발전소 부지를 동구로 전환하는 데 앞장섰고, 소음과 유해물질 배출,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안전문제에 대해 동구 주민과 소통하지 않은 것에 대해 인천시가 책임을 회피하는 것을 주민들이 제기하고 급기야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지난달 8일 열세 번째로 성립한 시민청원에 대한 박남춘 시장의 공식답변은 “민선 6기 추진과정에서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다소 부족했었다고 생각한다”라며 지난 유정복 시장 정부의 잘못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민선 7기 인천시는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수렴해 나가는 숙의과정 민주주의 원칙을 반드시 지키겠다”라고 약속하면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듯했다. 그러나 허종식 부시장이 “시가 권한이 없어서 어렵다. 민관대책위에서 논의하겠다”라고 밝히면서 박남춘 시장의 찬성 입장을 고수하였다. 이에 지역 정치권이 나서 백지화를 촉구하면서 갈등이 격화되었다.
안상수 자유한국당 인천시당위원장은 30일 시청 미래광장에서 열린 집회에서 “각 기관 등 여러 방면을 통해 발전소 건립을 백지화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응호 정의당 인천시당위원장도 “동구 수소연료전지발전소 반대가 지역이기주의가 아니라 정당한 주거권 요구로 여야가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노력하자”라고 말해 반대 입장을 지지하였다. 반면에 박남춘 시장은 “친환경 대체에너지로의 전환은 더는 미룰 수 없는 당면과제”라며 사실상 발전소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GTX-B노선의 예비타당성 면제와 통과를 위해서 여야가 앞장서고, 각자의 공으로 치적으로 하는 모습과는 극히 대조되어 정치권의 역할에 대해 각성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공익을 우선하면서 시민과 소통하여 갈등의 문제를 없애는 것이 진정 정치인의 소임임을 망각하지 말아야 한다. 당장 내년의 총선에 유불리를 계산하면서 상대를 공격하는데 지역 현안을 도구로 사용하고 주민을 동원하는 구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