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전국 시·도교육청 중 처음으로 ‘남북교육교류협력기금’ 20억 원을 조성하고 남북한 학생과 학교 간 교육교류 및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지난 7일(현지시각) 오전 8시 독일 베를린 숙소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최근 경기도의회에서 남북교육교류협력기금이 통과돼 처음으로 기금을 확보하게 됐다”며 “적절한 방법으로 북한과 소통해 이른 시일 내에 효과 있는 지원을 하고 (북한과의) 학생 교류 분위기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육감은 “세부적인 기금 운용 방안에 대해선 통일부를 통해서 논의해 나갈 예정인 가운데 구체적인 진행은 조금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고 밝혔다.
2015년 제정된 ‘경기도교육청 남북교육교류협력에 관한 조례’를 근거로 조성된 남북교육교류협력기금은 남북한 학생 간 문화·예술·스포츠 교류, 교구·교재 지원 및 북한 학생의 교육복지 증진 사업 등을 목적으로 조성됐다. 규모는 총 20억 원으로 ▲남북교육교류협력사업비 4억 원 ▲북한 교육(교육비품ㆍ교육복지) 지원비 10억 원 ▲기금 예치금 6억 원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도교육청은 ▲남북학생 간 문화·예술·스포츠 교류 ▲학생 교사 북한 교육기관 방문, 자매결연 교육교류 ▲교구·교재 지원 등 각종 교육복지와 관련된 사업 ▲북한 각급 학교에 교육비품 지원 및 북한 학생들의 교육 복지 증진과 관계된 교육지원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그 밖에 교육감이 협력 사업으로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도 진행한다.
이재정 교육감은 “당시 동독에선 누구도 ‘통일하자’고 이야기 하는 사람이 없었고 ‘평화롭게 살자’라는 국민의 통일에 대한 열망이 있었다”며 “과거 서독 정부가 동독에 대해 끊임없는 지원과 협력, 화해정책을 펼쳤다. 이런 것이 결국 통일을 가져온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통일 교육 이전에 평화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 2일부터 5박7일간의 일정으로 독일 프랑크푸르트와 베를린 현지 직업학교와 헤센주 교육부 등을 방문한 이 교육감은 진로·직업교육과 평화통일 교육 등에서 경기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 교육감은 “독일에선 5학년부터(만 10세) 본격적으로 직업교육을 시작한다. 우리는 중학교 자유학년제 이후인 2∼3학년에 진로·직업교육을 집중한다면 훨씬 효율적일 것”이라고 강조하며 ‘2+3+α’ 직업교육 시스템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2차 세계대전 동안 나치에 의한 전체주의의 역사를 경험하고 분할 통치돼 동독과 서독으로 나눠진 후 통일된 독일의 교육은 폭이 넓고 깊고 다양하다”며 “학생과 교사 중심, 학제의 다양성, 수업하는 교장 등 독일 교육의 장점을 어떻게 경기혁신학교에 반영해 다양한 혁신학교를 만드느냐가 앞으로 과제”라고 밝혔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