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학종 실태조사, 13개大 ‘일반고 부당 차별’ 여부 집중 규명

정부가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실태조사를 통해 주요 대학 13곳의 ‘고교 프로파일’과 최근 입시의 단계별 합격 현황 등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율형사립고·특수목적고 및 강남 8학군 고교 등 소위 ‘명문고’ 출신이 학종 등 정성평가가 있는 전형에서 일반고 출신보다 유리하다는 의혹이 객관적으로 규명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고교등급제’의 실체까지 가려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일 정의당 여영국 의원실에 따르면 교육부는 학종 실태조사 대상이 된 13개 대학으로부터 19개 영역 32개 항목의 입시 자료를 제출받았다. 특히, 제출서류 목록에는 ‘고등학교 프로파일’, ‘전형 단계별 평가계획’, ‘대학입학전형관리위원회, 대학입학공정관리위원회 등 입학전형 관련 회의록’, ‘평가시스템 매뉴얼’ 등 ‘고교등급제’ 시행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그 중 ‘고교 프로파일’은 그대로 각 고등학교가 스스로 정리한 학교 소개 정보로 학교 위치·규모 등 기본적인 정보부터 교육 목표 및 운영 방침, 교과별 수업·평가 방법, 교육과정의 특징, 동아리 운영 및 교내 시상 현황 등 매우 구체적인 정보가 담겨있다.

교육부는 각 대학이 고교 프로파일을 고교등급제의 근거로 악용하지는 않는지 들여다볼 방침이다. 그동안 서울의 주요 대학들은 매년 수시 모집에서 자사고·특목고 출신과 서울 강남 등의 ‘명문 일반고’ 출신을 많이 뽑기 때문에 고교등급제를 시행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항상 받아왔다.

여영국 의원은 “13개 대학은 학생부 종합전형 비율이 높고, 특목고 및 자사고 출신 신입생이 26.5%가 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사고 외고 국제고 과학고 학생이 4.6%인데, 이곳 대학의 신입생은 5배가 넘는다. 고교등급제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하고, “교육부는 이번 학종 실태조사를 통해 특권대물림 수단으로 악용되는 고교등급제 시행여부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육부는 학종 실태조사를 통해 고교등급제 등 입시 부정행위 정황이 보이는 대학에는 특정감사를 벌여 더 세부적인 자료까지 들여다볼 계획이다.

강현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