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31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광역교통 2030’은 대도시권 광역교통을 확충하기 위해 30분대에 연결하는 광역철도망과 도로의 간선기능 회복을 주요 추진과제로 내세우고 있지만 수도권 동북부권의 대책은 여전히 기존에 나왔던 대책들을 나열한 것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자유한국당 주광덕 의원(남양주시병)은 급증하는 광역교통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에 의해 교통혼잡과 같은 광역차원의 교통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기존의 대책들을 다시 나열하고 강조한 재탕 대책 발표를 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광역교통 개선을 위해 올해 3월에 설립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서 중장기 정책 방향을 담아 발표한 광역교통 2030은 위원회가 추진하고자 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안으로 비록 법정계획은 아니지만, 대도시권 주민들의 생활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관심이 집중됐다.
그러나 주 의원은 “이번 발표에서 정부는 광역철도 및 도시철도 연장, 광역 버스 대폭 확대, 환승 센터 구축, 다양한 요금제 도입 등을 대책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수도권 동북부의 교통대책은 대부분 기존에 추진된 택지개발과 함께 이미 제시된 대책”이라고 밝혔다.
주 의원은 또 “남양주시에 대한 대책들을 살펴보면 GTX B노선ㆍ C노선, 진접선, 별내선, S-BRT, 별내역 환승센터 등으로 대부분 이미 오래전부터 추진돼온 사업이거나 문재인 정부 들어 추진된 3기 신도시와 함께 제시된 교통대책들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주 의원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눈 가리고 아웅’하는 정부에 다산신도시 등 남양주시 시민들은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교통대책 주무부처인 국토부와 대광위가 이러한 민심을 제대로 읽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주 의원은 “한국교통연구원이 국토교통부 용역으로 검토한 ‘수도권 동북부지역 광역교통대책 평가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하철 9호선과 6호선 연장뿐만 아니라 수석대교 신설, 삼패사거리 고가도로 개선방안, 경의중앙선 용산~청량리~망우 구간 복복선화 사업, KTX 경강선 덕소역 승하차 역사 추가, 국도 47호선 확장, 신설 등의 대책이 광역교통대책에 포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밝혔다.
남양주=유창재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