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마을교육공동체사회적협동조합이 일감 몰아주기 등 각종 특혜의혹 논란에 휩싸인 데(본보 20일자 5면) 이어 이번엔 문어발식으로 사업을 확장했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의 20일 행정사무감사에서 성준모 의원(더민주·안산5)은 “사업자등록을 보니 의정부 본점은 매점, 출판, 인쇄, 연구용역, 교재교구, 가구, 교복, 사무용품, 전자출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과후 돌봄 서비스, 온라인 교육을, 안양은 인쇄업, 출판업, 빵, 과자 도매업, 기타 가공식품 도매업, 도시락, 서적, 잡지류 소매업, 전자책 데이터베이스 구축까지 이 정도면 종합상사 수준”이라고 지적하며 “대개 사회적협동조합은 같은 업종을 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그 분야를 더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이 수준은 거의 재벌들이 하는 업종을 다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도대체 이렇게까지 다양한 사업을 할까가 궁금해서 자료를 요구했더니 여주교육청이 올해 제일 많이 경기마을교육공동체사회적협동조합을 이용했다”며 공정한 행정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성 의원은 “자료를 보면 볼수록 울화가 치밀 정도”라며 “이 사회적협동조합이 교육목적으로 했다고 하는데 각 직속기관의 모든 부서가 다 망라돼 도시락, 과일, 커피까지 납품하고 이해가 안 간다”고 말했다.
이 같은 성준모 의원의 지적에 조광희 교육행정위원회 위원장(더민주ㆍ안양5)도 “(경기마을교육공동체사회적협동조합 운영) 과정과 결과가 올바르지 않게 흘러갔고 문어발식 싹쓸이 사업을 하고 있다”며 “잘못된 것은 인정하고 가라”고 성토했다.
이와 함께 박세원 의원(더민주·화성4)은 “3년 만에 불과 21억의 매출을 올리기까지는 (경기도교육청) 공무원의 적극적인 행정이 있었다”고 지적했고, 송치용(정의당·비례)도 “사회적협동조합과 어울리지 않는 것이 많아서 아쉽다”며 “율곡연수원처럼 96%를 독점하는 형태로 가는 것은 교육적이지 않고 도를 넘었다”고 질타하며 한목소리를 냈다.
이에 대해 강영순 제1부교육감은 “2016년 경기도교육청에서 인큐베이팅한 첫 번째 교육 사회적협동조합으로 법령이나 조례에 따라서 이뤄졌다”면서도 “앞으로 일부 시정해야 될 사항이 있다”고 인정했다.
이재삼 감사관은 “(의원들의 지적에 대해) 운영상 미흡했던 부분, 법령위반 부분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공평과 공정의 가치와 함께 적법한 부분과 위법한 부분들을 명명백백하게 시시비비를 가려 더이상 이러한 우려가 나오지 않도록 계획을 수립하고 있고, 시민감사관도 감사에 참여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마을교육공동체사회적협동조합은 지난 2016년 교육부 설립 인가를 받은 비영리 사회적협동조합으로 학생과 학부모, 교육 관계자, 기업인 등이 조합원으로 참여해 인쇄 및 출판, 체험교육, 학교매점 등 복지증진사업 등 다양한 교육 관련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