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비교적 평이… 국어, 역대 2번째 난도
만점자는 15명… 전문가 “수학·국어서 승패”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수학 나형과 국어의 난도가 상당히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가형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었고, 영어는 비교적 쉽게 출제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달 14일 치러진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를 3일 발표했다.개인별 성적은 4일 배부된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을 보면 국어영역 14점, 이공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주로 보는 수학 가형 134점, 인문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이 주로 치는 수학 나형은 149점이었다.
지난해 치러진 수능의 경우 국어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은 150점, 수학 가형 133점, 수학 나형 139점이었다. 표준점수는 수험생 원점수가 평균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알 수 있는 점수다.
지난해 수능과 비교했을 때 올해 수능은 전년도보다 국어영역은 쉬웠고, 수학 가형은 조금 어려운 수준으로 나타났다. 수학 나형은 어렵게 출제됐다.
특히 수학 나형 표준점수 최고점은 2009학년도 수능(158점) 이후로 치러진 11번의 수능 중 가장 높았다. 2010∼2019학년도에는 수학 나형 표준점수 최고점이 130점대 초반∼140점대 중반 수준이었다.
국어영역도 현 수능 체제가 도입된 2005학년도 이래 두 번째로 높은 표준점수 최고점을 기록했다. 어려웠다는 평가를 받았던 2009ㆍ2011학년도 국어영역 표준점수 최고점(140점)과 같았다.
영역별 1등급 커트라인(컷)은 국어영역 131점, 수학 가형 128점, 수학 나형 135점으로 나타났다.
올해 수능 만점자는 15명이었다. 재학생이 13명, 졸업생이 2명이었고 사회탐구를 선택한 학생이 11명, 과학탐구를 선택한 학생이 4명이었다.
입시 전문가들은 “올해 대입의 성패는 국어와 수학에서 갈릴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문과생 변별력은 수학에서, 이과생 변별력은 국어에서 크게 갈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