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유권자 14만명↑… 여야 표대결 ‘아슬아슬’

만 18세 투표… 총선구도 변수 작용
1천표 당락 지자체 유불리 갈릴 듯
“젊은세대 유입, 진보정당 유리 예상”

제21대 총선에서 처음으로 만 18세에게 투표권을 주는 가운데, 경기도 내 총선 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31일 국회에 따르면, 여야는 지난 27일 만 18세로 선거연령을 낮추고, 선거운동 등 정치활동을 허용하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행정안전부 집계 기준 14만 1천36명이 내년 총선에서 만 18세가 돼 새로운 유권자로 편입되면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도내 지역 중에는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만 18세 유권자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 집계 기준으로 수원이 1만 3천289명으로 가장 많았고, 고양 1만 1천850명, 용인 1만 2천171명, 성남 9천818명, 부천 8천227명 등의 순이었다.

이 가운데서도 지난 20대 총선에서 1천 표 안팎의 차이로 접전을 벌였던 남양주갑, 군포갑, 고양을, 안양 동안을 선거구에 대한 유·불리 계산에 시선이 모인다. 만 18세 유권자는 남양주에서 총 7천726명, 군포 3천68명, 고양 1만 1천850명, 안양에서 6천190명이 새로 포함될 예정이어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남양주갑의 경우, 더불어민주당 조응천 의원이 20대 총선에서 당시 새누리당 심장수 후보를 불과 249표(0.3%p) 차이로 따돌리며 당선됐었고, 군포갑 민주당 김정우 의원 역시 새누리당 심규철 후보와 맞붙어 726표(1.09%p) 차이로 신승했다.

고양을의 민주당 정재호 의원도 새누리당 김태원 후보를 상대로 900표(0.94%p) 차이를 내며 가까스로 승리했다.

안양 동안을에서는 자유한국당 심재철 원내대표가 민주당 이정국 후보를 겨우 1천700표(1.95%) 차이로 이긴 만큼, 청년 표심 확보 전략이 중요해질 전망이다.

김성수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젊은 유권자가 늘어날수록 진보 정당에 유리할 수 있다. 현 정부가 청년 수당, 특목고 폐지, 군 복무 기간 단축 등 청년층을 겨냥한 정책을 많이 내놓고 있기 때문”이라며 “다만, 선거 연령 하향 논의 추세에 맞춰 맞춤형 교육 등이 이뤄졌어야 했는데 (성급히) 제도화한 느낌이 있어 아쉽다”고 말했다. 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