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분석안이 도출됐다. 초미세먼지 농도와 민감계층(어린이, 노인 등) 이용시설 밀집지역을 종합 분석해 특별 관리가 요구되는 136곳을 정리한 것이다. 시ㆍ군이 해당 지역을 집중관리구역으로 신청, 환경부가 이를 승인하면 지자체는 국비 지원 등을 통해 각종 피해 예방 사업을 우선 추진할 수 있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운영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지난해 시행된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되면 민감군 이용시설을 중심으로 대기오염도 상시 측정, 어린이 통학차량의 친환경차 전환, 학교 공기정화시설 설치, 수목 식재 및 공원 조성, 보건용 마스크 보급 등을 우선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정부와 광역지자체는 시ㆍ군에 재정ㆍ행정 지원도 하게 된다. 집중관리구역의 범위는 미세먼지 농도와 취약시설 밀집도를 고려해 취약계층 이용시설 경계선으로부터 직선거리 200m 범위(지자체장 판단에 따라 최대 1㎞까지 유연하게 지정)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시ㆍ군의 본격적인 집중관리구역 신청에 앞서 자체 분석된 집중관리구역 136곳을 제안했다. 설정 기준은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2016년 기준)와 민감계층 이용시설(어린이집, 초등학교, 노인복지시설, 병원 등) 위치(2018년 기준)다. 아울러 136곳을 초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1순위(30㎍/㎥ 이상), 2순위(25~30㎍/㎥), 3순위(15~25㎍/㎥)로 구분했다. 참고로 지난해 전국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24.8㎍/㎥다.
이에 따라 1순위는 17곳, 2순위는 35곳, 3순위는 84곳으로 명시됐다. 1순위 17곳을 구체적으로 보면 남양주시 평내동(21만㎡)에서는 민감계층 이용시설이 46개소로 집중관리구역 중 가장 많았다. 어린이집이 33개소나 몰렸고, 노인복지시설도 7개소 위치했다. 안양시 관양동(13만5천㎡)에는 어린이집 26개소가 있는 가운데 공업지역이 이를 위협하는 모양새였다. 오산시 오산동(10만7촌㎡)에서는 차량이 수시로 오가는 경부고속도로 인해 어린이집 23곳 등이 미세먼지에 노출됐다.
전체 136곳에서 주소지만 따질 경우 수원(22곳), 화성(13곳), 안산ㆍ의정부(각 12곳)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평, 양평, 여주, 연천, 이천 등 일부 시ㆍ군은 민감계층 이용시설의 밀집도가 타지역에 비해 높지 않아 집중관리구역이 우선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도내에서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1ㆍ3동이 유일하다. 성남시는 인구 3만5천여 명의 주거밀집지역이면서 인근 레미콘 공장 등으로 주민 안전이 우려, 선제 조치를 취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현재 복수의 시ㆍ군에서 집중관리구역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며 “경기도는 해당 지역이 관리구역으로 지정 시 경기도 차원의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