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硏 “시내버스 확대 등 코로나 이후 대중교통 혼잡도 완화 정책 필요”

코로나19 이후 대중교통 혼잡도 완화를 위해 유연근무제 도입, 시내버스 공급 확대 등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교통 정책 중심이 효율성에서 안전성으로 전환된 가운데 관련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경기연구원은 ‘코로나19 이후 교통정책은 효율성에서 안전성으로’ 보고서를 24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시내버스 이용자는 국내에서 31번째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후인 3월 첫째 주에 전년 동기 대비 43.1%까지 감소했다. 시ㆍ군별로는 공공기관이 많이 입주해 있는 과천시 54.8%, 하이닉스를 비롯한 대기업이 입주해 있는 이천시가 52.9%로 감소율이 높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서수원~의왕 고속화도로 평일 교통량은 전년 동기 대비 최대 11.2% 감소하고 주말 교통량은 전년 대비 최대 25.0% 감소했다. 또 2ㆍ3월 택배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2%, 29% 증가했다. 이는 지난 7년간 연평균 증가율(10%)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 같은 교통 트렌드 변화로 주말의 지역 간 승용차 통행량은 급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해외 관광 수요가 국내 관광으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아울러 재난지원 지출 확대와 경기침체로 인한 세수 감소는 SOC 사업 예산 삭감으로 이어져 대중교통 차내 혼잡도 완화 및 신도시 입주를 고려한 대중교통의 적기 공급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세계 대도시는 대중교통 수요를 다시 높이기 위해 ▲버스 이용자의 앞문 탑승 금지와 운전자 보호 격벽 설치 ▲임시 자전거 도로 공급 ▲차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 대중교통 안전성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두고 보고서는 대중교통 수단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3가지 의무사항(차내 마스크 착용, 운전자 안전격벽 설치, 차량 방역 결과를 차량 내 공고)과 3가지 권고사항(후문 승ㆍ하차, 차내 이야기 또는 통화 금지, 차내 소독제 비치) 등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안했다.

김채만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수도권 광역ㆍ도시철도는 혼잡도가 매우 높아 코로나19 이후 통근자가 대중교통을 안심하고 이용하려면 강력한 대중교통 혼잡도 완화 정책이 필요하다”며 “경제정상화 시점에서 유연근무제 도입을 확대해 출퇴근 통행량을 감소시키고, 경기도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우리나라 광역ㆍ도시 전철 용량은 1량에 160명(3명/1㎥)이며, 이는 세계보건기구에서 장려하는 50명(0.45명/1㎥)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이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