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해수청, 인천항 침·퇴적에 대해 체계적 대응책 마련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이 선박 통항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인천항의 침·퇴적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책을 마련한다.

인천해수청은 29일 인천항 내 선박 운행에 영향을 주는 침·퇴적 현상의 원인규명과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전문가 협의체 회의’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인천항은 장기간 대규모 항만 개발사업 등으로 지속적인 침·퇴적이 발생해 선사들로부터 안전성 확보방안을 마련해달라는 요구가 제기돼 왔다.

제1항로 주변에 모래톱(바다에서 모래나 흙 등이 쌓인 곳으로 주변보다 수심이 얕은 부분)이 생겼고, 인천신항 항로와 경인항 갑문 전면 등에는 대량의 퇴적물이 쌓였기 때문이다.

이에 인천해수청은 인천항만공사, 인하대학교, 한남대학교, 해양조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과 함께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최신 수치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외국 선진기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법 최적화 방안과 인하대 해양조사선을 활용한 침·퇴적 발생지역 정밀 수심측량 등에 대해 논의한다.

또 인천항에 맞는 파랑·수심 등에 대한 해양모니터링 방식 고도화, 관계기관 간 데이터 공유 및 활용방법에 대해서도 의견을 모은다.

인천해수청 관계자는 “협의체 회의에서 제시한 결과를 인천항 준설 계획에 반영하고, 침·퇴적 지역에 인공구조물을 설치하는 등의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이를 통해 선박 통항 안전성을 확보해 항만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