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복지위 2명·산자위 1명 증원...원 구성 협상은 난항

국회는 10일 본회의를 열어 보건복지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을 각각 2명, 1명씩 늘리는 ‘국회상임위원회 위원 정수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로써 복지위 정수는 기존 22명에서 24명으로, 산자위는 29명에서 30명으로 늘어났다.

복지위 정수 증원의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가 청으로 승격되는 점이 반영됐다. 또 산자위는 한국판 뉴딜과 신산업 분야 논의를 준비해야 하는 점을 고려해 증원이 이뤄졌다.

복지위와 산자위가 증원되는 대신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는 1명씩 줄었다. 이에 따라 과방위는 20명, 외통위는 21명, 문체위는 16명이 됐다.

나머지 상임위의 위원 정수는 20대 국회와 동일하다. 주요 상임위별 위원 정수는 ▲법제사법위원회 18명 ▲정무위원회 24명 ▲기획재정위원회 26명 ▲교육위원회 16명 ▲국방위원회 17명 ▲행정안전위원회 22명 ▲환경노동위원회 16명 ▲국토교통위원회 30명 등이다.

여야가 상임위 정수를 조정하는 데는 합의했지만 21대 국회 원 구성 협상은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다. 특히 여야는 원 구성 법정 시한(8일)을 넘겼지만 법사위원장 자리를 누가 가져가느냐를 놓고 팽팽하게 대립,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원 구성 협상을 위해 이날 오후 예정됐던 박병석 국회의장과 더불어민주당 김태년(성남 수정)·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 간 회동도 취소됐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날 “의장실에서 오늘 회동이 취소됐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통합당과 조율이 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당초 박 의장과 민주당 김태년·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본회의 직후 회동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사전 조율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게 통합당 주장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김영진 원내총괄수석부대표(수원병)는 “회동은 이미 다 공표돼 있던 것인데 도대체 어떤 예의를 지키지 않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편 여야는 오는 12일까지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여당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3차 추가경정예산안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조속한 시일 내 원 구성을 마쳐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여야가 이견을 좁히지 못할 경우 12일 본회의 역시 여당 단독 강행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