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고양시정연구원은 13일 코로나19 이후 도시 회복과 크게 위축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내용을 담은 이슈브리프를 발표했다.
이전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대상의 지원정책과 확산예방ㆍ대응을 위한 지역사회 관리과제에 대해 살펴봤다면, 이번에 발표한 이슈브리프는 그동안 축적된 연구들을 토대로 코로나19로 변화된 도시 내 일상과 코로나19 종식 이후에 대한 전망 등을 도시계획 측면에서 정리했다.
해당 보고서는 먼저 코로나19 사태 이전에 발생했던 대규모 감염병 발생 사례와 감염병 극복을 위한 도시계획적 접근방안 등에 대해 소개했다. 도시의 위험요인들과 인류와 도시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추구해야 할 도시회복력 개념도 정리했다.
보고서 마지막 장에선 도시회복력 개념을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의 도시정책방향을 두가지 측면에서 설명했다. 첫번째는 생태적 측면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도시공간에 생태백신을 구축, 감염병을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생태백신은 자연공간에 대한 무분별한 개발을 지양하고 생태적 연결을 강화하는 처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기술에 의존한 방향이다. 4차 산업혁명의 첨단 기술이 실현되는 스마트 시티의 도래와 함께 감염병 대응에 있어 기존 방역체계에서 벗어나 신개념 방역체계로의 전환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이를 위해 도시 건축물 비롯해 공원, 도로, 인도, 업무공간, 생활공간에 이르기까지 도시 전체에 감염을 차단하는 감염차단 도시(Unfection City) 개념도 소개했다.
이재은 고양시정연구원장은 “이슈브리프가 시민들과 고양시 공직자, 타 지자체 관계자들에게 참고자료로 폭넓게 활용돼 위기극복에 조금이나마 힘을 보태고 정책수립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양=유제원ㆍ김민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