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는 지난 14일 ‘전기버스 5개년 전환계획’을 수립, 향후 5년 내 지역 내 노선버스 330대를 전기버스로 교체한다고 15일 밝혔다.
기존 노선버스 330대를 전기버스로 전환하면 국ㆍ도ㆍ시비 보조금이 5년 간 최대 825억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고양시가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약 27%인 224억4천만원이다.
이는 환경부 보조금과 저상버스 보조금을 합한 금액으로, 결코 적지 않은 금액이지만 미세먼지 저감과 업체 운영비 절감 효과, 장애인ㆍ어르신ㆍ임산부 등 교통약자의 대중교통 이용편의 향상 등을 감안하면 시민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훨씬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환경부가 발표한 ‘경유버스 및 CNG버스 환경ㆍ경제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경유버스가 1㎞를 주행할 때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은 10.2g이다. 이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고양시가 하루 230㎞를 운행하는 경유버스 330대를 전기버스 교체할 경우 연간 282.6t의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다.
노선버스는 시민들과 가까운 곳에서 장시간 운행하는 만큼 오염물질 배출량 감소를 위해 노선버스의 전기버스 전환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기준 고양에서 운행 중인 마을버스와 시내버스는 1천여대다. 이 중 경유버스는 423대이고 나머지는 천연가스버스(CNG)다.
고양시는 전기버스 330대를 올해부터 매년 60~70대씩 보급, 향후 5년 동안 순차적으로 전기버스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전기버스 배정은 마을버스업체의 수요 반영 후 시내버스업체 수요를 반영할 예정이다. 충전시설을 확보했거나 확보계획을 수립한 업체를 우선 배정할 계획이다. 도 지침에 따라 일정 비율은 반드시 경유버스 전환에 배정해야 한다.
고양시는 전기버스의 원활한 운행을 위해 주요 노선 회차지점과 공영차고지, 공원, 주유소 등에 전기차 충전시설 확대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대기 온실가스의 66%가 차량에서 발생하는 만큼, 이번 전기버스 보급 계획에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려는 고양시의 강력한 의지를 담았다”며 “향후 운송업체 보조금을 절감해 확보하게 되는 예산은 시민들을 위한 다양한 사업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고양=유제원ㆍ김민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