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시민이 부러우면 지는거다

요즘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인천 민심의 화두(話頭)로 곧 잘 오른다.

박남춘 인천시장, 문재인 대통령보다 자주 등장한다.

이 지사의 상승세가 전국적으로 가파르긴 하다.

한 여론조사 기관이 지난 6월 민선7기 15개 시도지사를 대상으로 벌인 직무수행평가 여론조사에서 이 지사는 71.2%의 지지율로 1위를 차지했다. 앞선 범여권 차기 대선주자 여론조사에서도 20%대의 지지율로 2위권이다.

그렇다고 왜 인천시민이 이재명을 찾을까.

1,2차 긴급재난지원금 선 지급 결정과 신천지 명단 강제 확보 등 민생이 한계에 닿을때 마다 한방씩 터뜨리는 ‘사이다 대응’ 이 그를 부르는 이유가 아닌가 싶다.

인천시민 입장에서는 경기도와 같은 수도권이고, 지리적으로도 이웃이니 이 지사의 민생 관련 정책에 관심을 두고 비교하는 일이 당연하기도 하다. 민생이 혹독해 위로가 필요할 때는 더욱 말이다.

인천시민은 코로나19 재난기본소득 정책 결정과 지급 과정에서 경기도에 느낀 상대적 박탈감과 소외감을 아직 지우지 못하고 있다. 이 와중에 이 지사는 2차 긴급재난기금 지급, 고위공직자 부동산 백지신탁 등 사이다 행보를 이어가고 있으니 부러운 눈길이 갈 수밖에.

문 대통령과 박 시장계를 자처하는 인천지역 정치인, 시 공무원도 ‘이 지사 표’ 사이다 정책의 적정성을 인정하며 인천 시정과 비교한다. 난세 극복을 위한 극약 처방도 리더 몫 중 하나라는 의미이다.

심지어 박 시장 측근 에서도 조심스레 한 마디 씩 나온다. ‘중요한 대목마다 우리가 한 발 늦는다’고. ‘그래서 아쉽다’고.

물론 이 지사의 사이다 정책은 지극히 개인적인 정치 행보이고, 오히려 재정 상황 등을 무시한 포퓰리즘이라는 지적도 있다.

그러니 인천시 입장에서는 비교할 필요도, 따라할 이유가 없다. 경기도가 맞고 틀리고, 인천이 잘하고 못하고의 문제도 아니다.

박 시장의 시정 철학인 ‘원칙행정’을 바탕으로 인천에 맞는 정책을 가져 가는 것이 정상이다. 다만 민심을 읽어내고, 처방을 하느냐가 관건이다.

시민이 무엇 때문에 얼마나 힘든지, 마음속에는 어떤 생각과 바람을 담고 있는지는 헤아려야 한다.

시민은 내가 뽑은 시장에게 헤아림을 바랄 자격이 있고, 시장은 민심을 헤아려야 할 의무가 있다.

민선 7기 인천호도 반환점을 돌았다. 민심이 무었이고, 어디에 있는지 박 시장이 판단하고 결정할 일이다.

인천시민이 어려울 때 마다 다름 아닌 박 시장의 이름을 떠올리며 힘 낼수 있기를 기대한다.

시민이 부러우면 지는거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