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경기] 이승재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장

경기본부 2025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농어촌 新성장’ 새로운 활력 찾는다

한 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농정의 최일선에서 농어업인과 함께해 온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어촌 생활환경 개선, 수자원 확보 등 인기 있는 일보다는 국민과 농어촌을 위해 가치 있는 일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다. 지난 1월 취임한 이승재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장(57)은 농어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앞장서는 한편 대내외 경영여건을 반영한‘ 경기본부 2025년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해 새로운 변화와 활력을 찾는데 힘쓰고 있다.

농어촌공사를 이끌어 갈 직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선배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라고 강조한 이 본부장. 그를 만나 그동안의 행보와 경기지역본부의 비전을 들어봤다.

ICT 기반 스마트 물관리, 에너지 절감시설 보급 확대 등 디지털 뉴딜과 그린뉴딜 실현

Q 경기지역본부장으로 취임한 지 200여일이 지났다. 그동안의 소회는.

A 취임 이후 코로나19 발병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등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키며 농업SOC 생산기반, 농촌용수, 농지은행 사업 등 주요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고 있다. 다만, 사업현장을 둘러보며 농어업인, 지역주민들과 더욱 자주 소통하고 일선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는 것에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지난 7월 경기본부는 농어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한국형 뉴딜정책 등 대내외 경영여건을 반영한 신성장사업 육성을 위해 ‘경기본부 2025 중장기 발전계획’을 새롭게 수립했다. 새로운 중장기 발전계획을 바탕으로 기존 쌀 중심에서 경제작물 재배 중심의 생산기반 정비 모델을 발굴하고, ICT 기반 스마트물관리와 에너지 절감시설 보급 확대 등 디지털 뉴딜과 그린뉴딜을 실현하기 위한 신규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청년 창업 농업인 위한 농지 장기임대 사업 확대, 전문 농업경영인 육성에 앞장

Q 올해 경기본부의 역점 사업은 무엇인가.

A 농지은행사업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2천379억원을 투입해 농업인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은퇴 예정인 농업인의 농지를 매입해 농업기반이 취약한 청년 창업농과 2030세대등 젊은 농업인에게 장기임대를 제공하는 공공임대용 농지매입 사업을 확대하여 전문 농업경영인 육성에 앞장서고, 고령 농업인의 노후생활 안정자금을 지원하는 농지연금 사업에 592억원, 부채농가의 경영위기 극복을 돕는 경영회생지원 사업에 387억원을 투입하는 등 농가경영 안정에 노력하겠다.

고령 농업인 노후생활 안정자금 지원 … 부채농가 경영위기 극복 경영회생지원 사업

Q 최근 긴 장마로 경기도내 곳곳에서 큰 피해가 발생했다. 관할 농경지와 저수지 등의 피해 현황은.

A 경기지역에 7월31일부터 8월15일까지 내린 비의 양은 평균 558㎜이며, 경기북부에는 813㎜의 많은 비가 내렸다. 경기본부 관할 저수지 2개소에서 일부 사면이 침하했고, 양수장 13개소 침수, 배수장 3개소 기계 고장 등이 있었다. 향후 홍수 피해 최소화를 위해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 배제능력을 키우는 치수능력증대사업을 확대하고 노후화된 수리시설 개보수를 통해 시설물 안전 확보를 선행할 계획이다.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A 최근 장마로 인한 농작물 피해와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일손 부족 등 올해 농어촌 환경이 매우 어려운 시기로 농업인들의 걱정이 매우 클 것으로 생각한다. 경기본부는 인력과 장비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농업인이 풍수해 걱정 없이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안정 영농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또 농어업 현장의 목소리에 항상 귀 기울이고 소통함으로써 농어가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모든 사업의 성과가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과 국민께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글_ 홍완식기자 사진_ 윤원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