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일 장사로 먹고사는데 오히려 평일 손님이 더 없어졌어요.”
수원시청 인근서 쌈밥 식당을 운영하는 A씨(50)는 매일같이 코로나19가 종식되길 기원하고 있다. 지난 1월 발생한 코로나19 장기화에 식당을 찾는 손님이 반 토막 난 것도 모자라 최근 들어 시청 공무원들까지 외식을 자제하고 있어서다.
A씨는 “작년엔 점심때 평균 10명 이상이 가게에 왔는데 지금은 5명만 와도 많이 온 편에 속한다”라며 “이대로 가다간 반찬 값도 못 벌겠다”고 토로했다.
용인 기흥구청 주변에서 13년째 식당 운영을 해 온 김진희씨(41) 역시 “지금만큼 힘들었던 적은 없다”며 깊은 한숨을 내쉬고 있다.
지난해보다 매출이 40%나 떨어져 당장 가게 월세 조차 큰 부담으로 다가왔기 때문. 그나마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던 공무원들의 발길도 끊기면서 이중고를 겪고 있다.
29일 경기도 내 관공서 등에 따르면 상당수 일선 관공서에서 사회적거리두기 2.5단계 격상 이후 구내식당 이용을 장려하고 있다.
직원들의 코로나19 감염 등을 우려해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조치다. 하지만 이 같은 관광서의 지침이 인근 식당가들에 큰 생계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코로나19로 경영난을 겪으면서도 그나마 유일한 숨통을 트여줬던 공무원들의 발길마저 일제히 끊겼기 때문이다.
일 평균 250여명이 근무하는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사회적거리두기 2.5단계 실시 이전에는 부서마다 일주일 중 하루를 ‘외식의 날’로 지정해 지역 상생을 도모해왔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확산세로 외식보다는 구내식당 3부제를 통해 직원들의 외출을 자제하고 있다.
용인시 또한 지난 8월부터 구내식당의 휴무를 없애며 직원들의 외부 접촉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상인들은 지역 상권을 위해 관공서의 구내식당 휴무일을 확대하는 등 외식 장려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에 대해 최희갑 아주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역상권을 살리려면 최우선 과제는 식당의 확실한 방역”이라며 “방역 인증 식당을 선정하고 공무원들에게도 이용을 장려하면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