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산업 전망…ICT 호황·건설업 침체·자동차 회복

현대경제연구원, ICT산업은 비대면 시장의 확대와 주요국 디지털 인프라 투자로 호황 전망

주요산업의 경기국면

내년 국내 산업 중 ICT산업은 호황을 맞고, 건설업은 침체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9일 현대경제연구원은 ‘2021년 주요 산업별 경기 전망과 시사점’을 발표하고, 내년 세계 경제는 이동제한 완화와 경제주체 심리 개선 등의 영향으로 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겠지만 침체했던 세계 경기가 회복되고 올해 기저효과에 의해 세계 수요는 늘어나 전반적으로 내년 국내 주요 산업경기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대부분의 산업 경기는 회복 국면에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별로 보면, ICT 제조업은 올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한 수요 부진이 우려됐지만 반도체 부문의 선방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보였다.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부문의 수요가 위축된 가운데 비대면 산업의 성장이 반도체 수요의 확대를 유도했다. 내년 ICT 산업은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인한 수요 증대, 비대면 시장의 확대 지속, 주요국 디지털 인프라 투자 가속화 등으로 성장이 전망된다.

올해 자동차산업은 코로나19발 글로벌 수요 감소 등으로 상반기 크게 위축됐다가 점차 회복되는 추세이다. 내년은 세계 주요국의 경기 부양 효과 등으로 세계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며 자동차 수출 수요가 증가하고, 내수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주요산업 중 건설업은 침체가 예상된다. 올해 건설업은 건설기성액 감소폭이 축소되고, 건설수주액은 증가세로 반등하는 모양새다. 내년 건설업은 SOC 예산 확대와 함께 한국형 뉴딜 등으로 공공·토목부문 수주는 증가할 전망이나, 정부의 주택 관련 규제 강화 등으로 민간·건축부문 수주는 감소할 전망이다. 또 올해 수주 증가가 향후 기성 증가로 이어지기까지 시차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건설 경기 불확실성을 완화하려면 공공부문의 조기 발주 확대와 일관된 정책 추진이 요구되며, 민간 부문 투자 및 사업 활성화에 대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