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의료폐기물 처리’에 비상이 걸렸다. 코로나19 장기화로 폐기물이 급증하는 가운데 3곳뿐인 처리시설이 수용량 포화 및 노후화 문제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서울ㆍ인천시의 폐기물까지 일부 해결하는 상황에서 주민 반대로 시설 확충은 번번이 무산,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일 환경부의 ‘의료폐기물 발생량 및 소각시설 용량’을 보면 최근 도내 의료폐기물(주삿바늘, 알콜솜, 폐백신 등 별도 처리 대상) 발생량은 꾸준히 늘고 있다. 2016년 3만8천여t, 2017년 3만9천여t, 2018년 4만2천여t 등 3년새 약 10% 늘어났다. 고령화 현상 등으로 의료시설 수요가 커지고 있어서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여파로 전년 대비 80% 이상 급증(격리의료폐기물만 계산시)했다는 서울기술연구원의 연구 결과도 있다.
문제는 이러한 의료폐기물 처리시설이 도내 3곳뿐이라는 거다. 시설은 용인시, 포천시, 연천군에 각각 있다. 의료폐기물의 90% 이상이 이들 시설에서 소각 처분된다. 나머지 처리 방식은 병원 자체 멸균분쇄, 폐수처리, 재활용 등이다.
시설 3곳의 총 수용량은 6만7천여t인데 수도권 총 발생량은 11만1천여t에 달한다. 서울ㆍ인천시에 처리시설이 없는 만큼 폐기물 일부가 도내 시설로 넘어오고, 코로나19에 따른 발생량 증가를 고려하면 도내 시설은 포화상태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처리용량이 초과하면 경북ㆍ충북 등 타 시ㆍ도 시설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처리 시간ㆍ비용 증가로 직결, 병원으로부터 폐기물 처리 위탁을 받은 업자들이 기피하기 일쑤다. 특히 도내 시설 3곳의 설치연도가 1996ㆍ1999년ㆍ2004년 등인 만큼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당면 과제다.
그러나 대표적인 님비(기피) 시설인 의료폐기물 소각장을 추가하기는 쉽지 않다. 이달 1일 평택시는 청북읍 어연ㆍ한산지방산단 내 의료폐기물 소각장 사업계획에 대한 반대 의견을 한강유역환경청에 전달했다. 하루 수십t의 폐기물을 태우면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민원이 극심하기 때문이다. 2014년에는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내 의료폐기물 설치 계획에 대해서도 인근 안성시민들이 반대한 바 있다.
도 관계자는 “의료폐기물은 실질적으로 환경부에서 감시ㆍ감독하고, 폐기물 처리 업체를 승인하고 있다. 시설 추진도 민간 주도로 이뤄지고 있다”며 “경기도 입장에서 행정력을 발휘하기 난해한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의료폐기물 처리시설의 포화가 예상되는 경우 지정된 소각장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했다”며 “수용량을 초과하더라도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의 종류ㆍ발열량 등을 고려해 허가용량 130%까지는 소각할 수 있다. 향후 추가적인 코로나19 확산에도 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