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첫 ‘문·이과 통합형’ 수능 치른다

국어·수학영역 ‘공통+선택과목’ 체계로… 정시 비중도 확대

▲ 논술고사 끝 ♣♣수도권 주요 대학들의 2021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논술시험이 시작됐다. 지난 5일 오후 논술시험이 실시된 용인시 수지구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에서 시험을 마친 수험생들이 학교를 빠져나오고 있다. ♣♣조주현기자
수도권 주요 대학들의 2021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논술시험이 시작됐다. 지난 5일 오후 논술시험이 실시된 용인시 수지구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에서 시험을 마친 수험생들이 학교를 빠져나오고 있다. 조주현기자

현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내년에 치를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수험생이 자신의 계열을 떠나 선택과목을 고를 수 있는 ‘첫 문·이과 통합형 수능’으로 바뀐다. 바뀐 수능 첫해지만 재수를 고민하는 수험생들은 한 번 더 도전해볼 만하다고 입시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6일 교육계에 따르면 내년 11월18일로 예정된 2022학년도 수능에선 국어와 수학 영역이 ‘공통과목+선택과목’ 체계로 개편된다.

국어에는 공통과목 ‘독서·문학’과 선택과목 ‘언어와 매체’·‘화법과 작문’이 생긴다. 수학은 가형·나형 구분 없이 수험생은 수학Ⅰ과 수학Ⅱ를 공통과목으로 치르고, 선택과목으로 ‘확률과 통계’·‘미적분’·‘기하’를 본다. 수험생은 공통과목은 모두 응시해야 하고 선택과목은 1개씩 골라서 치러야 한다.

사회탐구·과학탐구 영역에서는 문·이과 구분 없이 수험생이 탐구영역 총 17개 과목 중 최대 2개를 골라 응시하면 된다. 사실상 문·이과의 선택과목이 정해져 있고 교육과정도 올해와 다르지 않아 재수생들이 바뀐 수능으로 피해를 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주요 대학들은 자연 계열 지원을 위해 수학에서 ‘미적분’이나 ‘기하’를 선택하라고 제시한 상태다. 이과 수험생들은 두 과목 중 하나를 택하면 된다. 2021학년도 수능 출제 범위에 ‘기하’가 제외돼 있어 공부를 덜 한 만큼 재수생들은 ‘미적분’을 택하면 무리가 없다고 입시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문과의 경우 특정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는 대학은 거의 없지만 자연 계열 학생들과 경쟁을 피하려면 선택지가 사실상 ‘확률과 통계’만 남는다. 이 경우에도 올해 수능 시험 범위와 크게 차이가 없다.

남윤곤 메가스터디교육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학에서 문과는 ‘확률과 통계’를 보면 되고, 올해 고3은 내년 재수할 때 ‘미적분’을 선택하면 될 것”이라며 “수능의 중요성이 커지기 때문에 수능에만 올인하는 재수생한테는 내년이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어 재수 도전은 실보다 득이 크다”고 말했다.

정시 비중이 확대되는 점도 수능에 올인하는 재수생에게 더 유리할 수 있는 대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교육부 방침에 따라 서울 지역 16개 주요 대학의 정시 선발 비중을 2023학년도부터 40%까지 늘려야 한다. 상당수 대학은 2022학년도부터 정시 비중을 끌어올린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서울 주요 16개 대학에서 정시 선발 인원이 5천명 이상, 현재보다 10%가량 늘어난다”며 “올해 코로나19 상황으로 컨디션이 좋지 않았던 고3들에게 내년 정시 확대 움직임은 재도전 시그널로 읽힐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현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