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 수도권 232.6㎞ 고속도로 정체구간 손 본다

한국도로공사가 오는 2023년까지 수도권 고속도로 정체구간을 개선한다.

도로공사는 갓길 차로 설치, 노선 확장 등을 골자로 하는 ‘5차 고속도로 교통 정체 개선계획(2021~2023년)을 수립ㆍ시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정체구간은 평일 통행 속도 시속 50㎞ 미만인 상태가 하루에 1시간 이상씩 한 달에 8일 이상 발생하는 구간, 주말 차량 흐름이 시속 50㎞ 미만인 상태가 하루 2시간 이상씩 한 달에 4일 이상 발생하는 곳이다.

이 중 노선별로 최장 정체 노선은 수도권 1순환선(96.2㎞)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경부선(74.8㎞), 서해안선(51.1㎞), 영동선(42.1㎞) 순이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232.6㎞로 전체의 약 74%를 차지했고 이어 대전·충남(37.9㎞), 강원(19.9㎞)이 그 뒤를 이었다. 전국적으로 정체 구간은 9개 노선에 50개 구간, 총연장 314.4㎞로 나타났다.

도로공사는 이번 5차 계획기간인 2023년까지 전체 정체 구간의 70%(220㎞)에 대해 개선을 완료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갓길 차로 설치, 연결로 개량, 도로 신설·확장 등 60개 세부 개선 과제를 발굴해 추진한다.

우선 올해 서해안선 매송 나들목(IC)에서 화성 휴게소에 이르는 구간에 갓길 차로를 설치하는 등 정체 구간 연장이 긴 구간에 대해 단계적으로 갓길 차로를 설치한다. 아울러 안성과 구리를 잇는 세종∼포천 고속도로를 오는 2023년까지 신설하는 등 노선 신설·확장 사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공사 관계자는 “정체 기준 속도를 상향해 실질적인 정체 구간을 선정하고 이를 토대로 정체 개선 대책을 적극 발굴·추진해 국민이 개선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승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