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공 열흘 앞둔 망포역 공공공지…주차 대책 ‘오리무중’

망포역 공공공지 주차장. 수원시 제공

주차대란 우려 지적이 나오고 있는 수원 망포역 공공공지(公共空地) 개선사업(경기일보 2020년 11월16일자 12면)의 착공이 불과 열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관할 당국은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수원시와 영통구 등에 따르면 영통구는 망포역 공공공지를 보행자 중심 환경으로 조성하는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내달 1일부터 공공공지에 화단을 설치하는 1단계 사업을 시작하고, 바닥면 정비와 주민 편의를 위한 특화거리 조성 계획이 담긴 2단계는 추후 예산이 확보되면 진행될 예정이다.

망포역 공공공지는 1994년 도시관리계획에 따라 영통동 976-10 일대에 3천697㎡ 규모로 조성됐다. 공공공지는 주요 시설물ㆍ환경 보호ㆍ보행자 통행 등을 위해 마련되지만, 이곳은 1998년 망포역 주변 상가 조성 이후 상가 주차장과 인도가 혼재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곳 공공공지는 차량과 보행자가 뒤섞이는 안전 문제를 안고 있다. 최근 2년간 불법 주정차 신고 및 단속 요청만 800여건에 이른다. 영통구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선사업에 나섰지만, 24년간 공공공지를 주차장으로 이용해 온 주변 상인들이 반발하고 있다. 이 일대엔 자동차 대리점과 카페, 식당, 학원 등이 밀집해 있어 개선사업이 시작되면 당장 100면에 달하는 주차장을 채운 차량들은 갈 곳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망포역 공공공지 주차장을 이용하는 카페 점주 S씨(42ㆍ여)는 “대안도 없이 주차장을 없애면 어떻게 하란 말이냐”며 “볼라드가 설치되기 시작하면 갈 곳을 잃은 차량들로 망포역 주변에 주차대란이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영통구는 현재 사업 시행지에서 왕복 12차선 건너 400여m 떨어진 수원어린이교통공원 주차장 이용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이곳은 애초 공원으로 조성된 탓에 상가 주차 수요를 수용하려면 공원조성계획 변경에 대한 허가, 도시공원위원회 심의 등 절차를 거쳐야 한다. 열흘이라는 시간 내 처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영통구 녹지공원과 관계자는 “시민들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공공공지의 본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이번 사업의 취지”라며 “망포역 상인들에게 협조를 구하고 조속하게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