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간 18만명 이동...원도심 인구 삼킨 인천경제자유구역

인천의 원도심에서 살던 시민 18만여명이 최근 15년간 새집을 찾아 송도·청라·영종국제도시 등 인천경제자유구역으로 삶의 터전을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인천의 인구 이동은 신도시와 원도심의 인구 불균형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21일 통계청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송도국제도시의 첫 아파트 입주가 이뤄진 2005년부터 15년간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순유입 인구는 30만2천380명이다. 이 중 송도의 순유입 인구는 14만7천810명이다. 청라와 영종은 각각 9만9천348명, 5만5천222명으로 나왔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순유입 인구에서 인천 안에서의 순유입은 18만3천65명(60.5%)에 이른다. 또 송도와 청라의 순유입 인구 중 인천 안에서의 순유입은 각각 9만4천833명(64.2%), 6만9천832명(70.3%)이다. 다만, 영종은 다른 시·도로부터의 순유입 인구가 더 많아 인천 안에서의 순유입은 1만8천400명(33.3%)에 불과했다.

인천의 군·구 중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으로 가장 많은 인구가 빠져나간 곳은 연수구(3만5천641명)다. 뒤를 이어 부평구(3만2천664명), 남동구(3만782명), 서구(3만267명), 미추홀구(2만5천260명), 계양구(1만9천679명), 동구(5천930명), 중구(2천665명) 등이다. 이 중 중·연수·서구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을 포함한 지역인 데도 인천경제자유구역으로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연수구의 경우는 같은 기간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제외하고 다른 9개 군·구로 2만3천273명의 인구가 빠져나갔다.

특히 송도로 많은 인구가 빠져나간 군·구로는 연수구(3만1천988명), 남동구(2만446명), 미추홀구(1만6천615명) 등을 꼽을 수 있다. 영종은 서구(4천288명)와 남동구(3천267명), 청라는 서구(2만958명)와 부평구(1만7천231명) 등이다.

인천 안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으로의 인구 이동이 두드러지는 이유로는 주택요인을 꼽을 수 있다. 지난 2014년부터 6년간 인천경제자유구역으로의 전입신고상 전입목적 중 60%가 ‘주택’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전입목적에서 주택요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는 것은 원도심에 살던 시민이 신도시의 살기 좋은 새집을 찾아갔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같은 현상에 따라 원도심의 인구 이동에서는 지난 2001년부터 19년간 7만4천425명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인천을 대표하는 신도시인 인천경제자유구역과 원도심 간의 인구 불균형이 심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인천시의 원도심 재생정책을 보완·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빈집 정비 및 집수리 지원 정책을 비롯해 노후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한 재건축과 리모델링 유도 등의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왕기 인천연구원 박사는 “중·동·미추홀구를 비롯해 최근 부평·계양구에서도 인구유출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추진 중인 시의 원도심 재생정책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기초로 한 더욱 강한 의지를 반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