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학기 초등 저학년·특수학교 등교 확대

교육부, 학사운영 발표… 코로나 장기화 대면·비대면 수업 병행
학생 수 30명 넘는 과밀학급엔 기간제 교사 2천명 배치

코로나19 상황이 1년째 이어지면서 올해 새 학기도 대면ㆍ비대면 수업이 병행될 예정이다.

다만 초등학교 저학년과 특수학교의 경우 등교 수업을 보다 확대하고, 학생 수가 30명이 넘는 과밀학급에는 기간제 교사 2천명이 배치되는 등 학습지원책이 세밀해졌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업무보고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신학기 학사 운영과 관련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학교 밀집도 원칙을 유지하면서 유아, 초등학교 저학년, 특수학교ㆍ학급을 우선으로 이전보다 더 자주 등교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등교 확대를 위해선 우선 등교 대상 위주로 과밀학급 해소 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전국 초등학교 1∼3학년 가운데 30명 이상 학급에 기간제 교사 약 2천명이 배치된다.

기초학력 지원을 위해 교육부는 3월 중에 ‘국가기초학력지원센터’를 신설하고 관련법 제정도 추진한다. 또 원격수업 관련 규제를 혁신하기 위해 ‘원격교육 기본법’ 제정에도 나선다. 아울러 올해 1학기부터 중ㆍ고교 모든 교과목에 대해 동영상 수행평가를 허용하고, 대학의 경우 20%로 제한됐던 원격수업 비율 상한을 폐지한다.

교육부는 지난 한 해 등교ㆍ원격 수업을 병행하며 유연하게 학사 운영을 한 경험 덕분에 올해 신학기 개학 연기는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다만 전면 등교 시기는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유은혜 부총리는 “모든 학년, 모든 학생들이 전면 등교하는 시기는 지역 사회의 (코로나19) 위험 정도나 우리 국민의 백신 접종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세한 학사 운영 방침은 오는 28일 발표될 전망이다.

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