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인천ㆍ충남과 대기질 개선 프로젝트 시동… ‘서해안 시대’ 탄력

경기도청 전경(도지사 이재명)

경기도가 인천시, 충남도와 서해안 대기질을 개선하는 협력 프로젝트로 ‘서해안 시대’ 개발에 탄력을 더한다.

국가 미래발전의 동력으로 서해안 개발(경기일보 10일자 1면)이 꼽히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서해안권 초광역 협력사업’의 시동을 걸겠다는 복안이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26일 오후 2시 인천시, 충남도와 ‘서해안권 대기질 개선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 자리에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박남춘 인천시장, 양승조 충남도지사 등이 참석해 서해안권 대기오염 배출시설에 대한 초광역 관리체계 구축 등이 담긴 협약서에 서명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3개 시ㆍ도 대기오염배출량이 전국 배출량의 3분의 1에 육박하는 등 그 심각성이 높아진 데 따라 추진됐다.

CAPSS(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보면 2017년 기준 경기ㆍ인천ㆍ충남의 대기오염물질은 총 141만6천t으로 전국 458만1천t의 30.9%에 달한다. 항만, 산업단지, 화력발전소 등 대규모 배출시설이 서해연안권에 집중된 탓이다.

이에 경기ㆍ인천ㆍ충남은 업무협약을 통해 ▲초광역 서해안권 환경관리단 설치ㆍ운영 ▲대기질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대형 미세먼지 배출사업에 대한 관리 및 합동점검 ▲국가 대기오염 영향관리 표준화 ▲선박배출량 공동조사ㆍ중소형 선발 배출기준 마련 ▲대기질 개선사업 공동 발굴 등 6가지 사업 분야를 공동으로 추진한다.

아울러 이들 3개 광역지자체는 초광역 협력 프로젝트 컨설팅(1~5월)을 통한 세부 사업 추진에도 나설 계획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가 추진하는 ‘서해안 시대’ 재도약 프로젝트도 한층 가속화 될 전망이다. 평택ㆍ당진항의 ‘중부권 물류거점’ 육성과 시흥의 ‘해양레저관광 거점 조성’, 화성의 ‘수산식품산업거점단지 건립’ 등 경기도가 야심 차게 추진하는 서해안 개발사업이 이번 대기질 개선 사업과의 시너지를 통해 사업 방향성을 친환경 서해안권 발전 등으로 폭넓게 확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행정구역을 뛰어넘는 체계적인 소통과 협력시스템을 마련해 3개 시도의 공동 목표인 서해안권 대기질 개선을 반드시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이광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