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하철 연장’ 공약에 국회의원 되더니/서울시 ‘횡포’에는 입 다물고 숨어있다

국회의원들의 힘이 간절히 필요하다. 서울시의 ‘광역 철도 연결 평면 환승 원칙’에 대한 대책 말이다.

서울시가 기습적으로 발표할 때만 해도 길은 보였다. 서울교통공사의 손실 분담이 답일 수 있다고 봤다. 선출 시장 없는 서울시의 발표이니 유동적이라고도 봤다. 광역 지자체 간 대화로 풀릴 수 있다는 것이 대체적 분석이었다. 경기도 분위기도 그랬다. 그런데 처음부터 꼬여간다. 경기도의 대화 시도가 한마디로 거부당했다.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서울ㆍ경기ㆍ인천 대화를 요청했는데, 대광위가 “논의 사항 못된다”고 답해왔다.

걱정인 건 대광위의 생각이다. 언론을 통해 알려진 대광위의 입장은 서울시의 그것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기습적 발표라는 경기도 지적에 “(서울시는) 예전부터 수차례 평면 환승 의견을 말했다”며 거들었다. 부당한 원칙이라는 지적에도 “서울시의 원칙이다. 경기도ㆍ인천시와 논의할 사안 못된다”고 단정했다. 경기도 앞에 담벼락이 놓인 셈이다. 7호선 연장, 3호선 연장, 4호선 연장 사업 등의 불안감이 더욱 피부로 와닿는 느낌이다.

그래서 국회의원이다. 대광위는 국토부 기관이다. 국토부는 중앙정부다. 경기도, 인천시에서 어찌해보기 버겁다. 국회를 통해 움직이는 게 효율적이다. 국토위 소속 지역 국회의원들도 있다. 상임위가 다른 의원들도 중앙부처와 대화는 가능하다. 그런데 이상한 게 있다. 서울시의 ‘원칙’ 발표는 지난주였다. 경기도와 시군이 발칵 뒤집혔다. 현안 사업 또는 미래 사업이 연관된 지역은 더 그랬다. 해당 지역 국회의원들이 모두 조용하다.

이들이 누군가. 지난해 총선이 눈에 훤하다. 너도나도 지하철 연장을 내걸었다. ‘지하철 3호선 연장하겠습니다’. 국회의원 된 후보의 대표 공약이었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만났습니다.’ 역시 지금은 국회의원이다. 도대체 지하철 공약 현수막이 몇 개였는지 집계도 안 된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악수하는 사진이 몇 장이나 뿌려졌는지 알 수 없다. 오죽했으면 ‘지하철 총선’이라 했겠나. 그 공약이 불가능해지는 일이다. 그런데 이렇게 조용하다.

표(票) 달랄 땐 안 그랬다. 안 시켜도 서울시 찾아갔다. 지하철 연장해달라고 말했다. 그래놓고 이걸 지역민에 쫙 뿌렸다. ‘확실히 약속받았다’고 자랑했다. 그렇게 해서 국회의원이 됐다. 그렇다면, 지금은 어때야 옳은가. 서울시 찾아가야 하는 것 아닌가. 원칙 틀렸다고 담판 져야 하는 것 아닌가. 하다못해 서울시 원칙 철회하라고 말이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닌가. 그런데 아무 움직임이 없다. 서울시의 발표 1주일 넘도록 계속 침묵하고 있다.

너무 많아 일일이 거명할 순 없지만, ‘동네 이름’과 ‘지하철 연장’을 검색하면 각자 동네의 무책임한 국회의원들을 지금도 찾아볼 수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