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자체매립지, 인센티브보다 친환경 공감대가 먼저다

인천시가 자체매립지 ‘인천에코랜드’의 후보지인 옹진군 영흥도와 관련한 제2영흥대교 건설 등 각종 인센티브 마련에 힘을 쏟고있다.

영흥도와 안산시 대부도를 있는 제2영흥대교는 영흥 주민의 숙원사업이기도 하다. 시는 이와 함께 왕복 2차선인 영흥대교의 4차선 확장과 영흥도 내부 도로의 확장·신설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앞서 시는 해마다 58억원의 영흥지역 발전기금 지원과 15만㎡ 규모의 수익시설 제공 등 500억원대의 지원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시는 영흥 주민의 요구사항을 취합해 최대한 반영 한다는 방침도 세워놓고 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다음달 3일 영흥도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을 종합해 발표할 계획이다. 자체매립지 운영에 따른 지역 주민에 대한 이 같은 인센티브 제공은 당연하고, 가능한 확대해야 한다.

그러나 자체매립지 조성을 위해서는 인센티브에 앞서 시설에 대한 친환경과 안전성 검증과, 이에 대한 주민의 공감대가 우선이다. 수도권매립지의 30년 악취 고통에 찌든 인천시민의 한과 두려움을 인센티브 만으로 풀수는 없는 일이다. 시는 자체매립지에는 생활폐기물 소각재와 불연성 폐기물만 매립해 친환경·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인천시민 중 상당수가 시의 이 같은 입장을 접하지도 못할 뿐더러, 정작 설명을 들어도 친환경과 인체 안전성 등에 대한 이해와 공감도가 낮은 것이 현실이다. 시의 홍보 자체가 부족하고, 설명 방식도 일방적인 주입식이다 보니 시민의 불안감과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제라도 시는 친환경을 자처하는 대체매립지 시설의 운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보급 등을 통해 시민이 한 눈에 검증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홍보와 보급 방식 또한 기자회견이나 언론보도에서 더 나아가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통해 많은 시민이 직접, 즉시 정보를 접할수 있도록 해야한다. 타 지역에서 운영중인 친환경 시설에 대한 시민 견학을 통한 검증도 필요하다.

특히 자체매립지 뿐만 아니라 소각장시설에 대한 친환경 공감대도 함께 형성해야 대한민국이 처음으로 가는 ‘인천표 자원순환정책’의 지표를 성공적으로 만들수 있다.

‘인천표 자원순환정책’은 인천의 30년 쓰레기 고통을 종식하는 시민 숙원사업이다. 따라서 모든 시민이 참여하고, 힘을 모아 이뤄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천시가 시민 이해와 공감을 담아낼 수 있는 효율적인 정책 바구니를 만들고, 잘 알려야 할 의무와 책임을 다해야 한다.

그 첫 단추는 인센티브가 아닌, 친환경과 안전성에 대한 시민의 믿음과 공감대로 끼워져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