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아니다. 부당성이 확인된 사례도 아직 없다. 극히 자연스러운 정치 활동의 하나다. 그럼에도, 액수를 확인하고 실상을 들여다보는 유권자는 불편하다. 더구나 지금이 어느 땐가. 모두가 코로나19로 삶의 터전을 강제 폐쇄당했다. 일자리에서 쫓겨나 길거리로 나앉았다. 이들의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는 정치인 후원금 ‘호황’ 소식이다. 곱게 보일 리 없다. 정치인에게 후원금 모금 자유가 있듯이 시민에게는 후원금 행태를 지적할 자유는 있다.
본보 기자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0년도 국회의원 후원회 후원금 모금액’을 분석했다. 모든 국민에게 코로나 고통 원년이었던 2020년 모금 실적이다. 경인 지역 의원 72명의 모금액이 154억여원이다. 2019년보다 90억여원보다 64억여원 늘었다. 의원 1명이 평균 2천1천448만원을 거뒀다. 법적 모금 한도액은 평년에는 1억5천만원, 선거 연도에는 3억원이다. 21대에 새로 당선된 의원은 1억5천만원이다. 상황을 감안해도 후원금은 풍년이었다.
한도액(3억원)을 초과해 모금한 의원도 많다. 정당별로는 민주당이 11명, 국민의 힘 1명, 정의당 1명이다. 여권 성향 정당 의원들이 압도적이다. 경인 의원 1위는 심상정 의원(정의당)으로 3억1천887만원이다. 이어서 이재정 의원(민주당)이 3억1천63만원, 김병욱 의원(민주당)이 3억771만원이다. 전 재산을 5억9천만여원으로 신고한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도 3억668만원을 모금했다고 신고했다. 초과 금액은 다음해 모금 목표에서 차감된다.
1억원도 모금하지 않은 의원들도 있긴 하다. 김은혜 의원(3천726만원)ㆍ배준영 의원(4천169만원)ㆍ최춘식 의원(5천만원)ㆍ정찬민 의원(5천521만원)ㆍ김선교 의원(9천374만원) 등이다. 모두 국민의힘 소속이다. 후원금을 청렴도 또는 능력과 연결지을 일은 결코 아니다. 많으면 부당하고 적으면 정당하다는 판단도 근거 없다. 과거에도 여당 편중은 심했다. 다만, ‘경험하지 않았던’ 국가적 위기를 생각하면 ‘경험하지 않았던’ 지적을 할 수도 있다.
후원금의 객체도 결국은 어느 개인이고 어느 기업이다. 그 개인에 식당 문 닫으라고 했다. 그 기업에 사무실 문 닫으라고 했다. 심지어 가족 상봉도 하지 말라고 했다. 모두가 정치가 만든 법으로 강제한 것이다. 그래놓고 자기들 후원금 접수 통로는 활짝 열어놨다. 한도액까지 초과하며 또박또박 챙겨 왔다. 이거 심한 거 아닌가. 단 한 명의 국회의원이, 단 한 번의 농담으로라도 말 한 적 있나. “코로나 위기 1년 만이라도 후원금 받지 맙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